289 / 삼국유사, 바다를 만나다 - 정천구 지음 -150624저녁부터 읽음. -[삼국유사]가 집필된 때는 대략 1289년이다 일연(1206~1289)이 생전에 완성하지 못하고 남겨둔 것을 제자들이 찾아내 간행함으로서,일연이 입적한 때를 집필 완료된 시점으로 잡는다, 일연이 죽고 한 세대가 지난 뒤, 이탈리아에서 [신곡](1321)이라는 불후의 명작이 탄생.. 한국 2015.06.25
"그때 그사람은 가고 없어도, 역사는 생생히 남아 있다" 역사책을 읽을 때는, "그때 그사람은 가고 없어도, 역사는 생생히 남아 있다" 라는 사실을 항상 기억하고 읽어보자. 그리고 나의 삶을 살아가자! 한국 2015.06.13
288 / 류성룡, 7년의 전쟁 - 이종수 지음 -150722 읽음. -복사꽃이 피었다. 돌아온 첫봄, 옥연정사에 복사꽃이 피었다. 서애는 방문을 열어젖힌 채 마당가의 꽃나무를 바라보고 있었다. 뭉클했다. 이처럼 눈부신 봄 햇살을 , 그 아래 저 붉은 꽃잎을 한가로이 만난 것이 언제 일이었던가. 사랑스러웠다. 그렇게 여러 날을 , 오직 그 꽃.. 한국 2015.06.09
287 / 징비록,못다한 이야기 - 최희수, 조경란 지음 -150719읽음 - [징비록]은 임진왜란 전란사로서 역사서다. 1592~1598년 까지 7년에 걸친 전란의 원인,전황 등을 기록했다. [징비록]의 첫 부분에서 인명의 살상과 토지의 황폐화를 야기한 참혹한 전쟁을 회고하고, 다시는 같은 전란을 겪기 않도록 반성해 앞날을 대비하는 반성의 기록을 남긴다.. 한국 2015.06.09
286 / 조선견문록 - 이영관 지음 -150623읽음 -나는 역사유적지를 답사하면서 전국 각지의 문화원과 시.군청의 관련 전문가들과 문화유산해설사,향토사학자들의 도움을 받았다. -5- - 조선이 건국되자 고려의 왕족들은 강화도로 끌려와 '염하'에서 수장당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일부 살아남은 왕족들은 玉,全,龍씨.. 한국 2015.06.09
285 / 고문서,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 전경목 지음 -150620읽음 - (1825년,혹은 1885년) 을유년 고문서 한장을 통하여 알수 잇는 사실은 평민이나 천민 신분의 여성은 양반 출신으 여성과는 달리 이혼과 재혼을 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23- - 조선시대에는 "刑不上大夫, 禮不下庶人" 즉 "형벌은 사대부에까지 적용하지 않고 예절은 서인에게까지 .. 한국 2015.06.09
284 / 왕의 하루 - 이한우 지음 -150618읽음 - '해동육룡' 이란 이성계으 고조부부터 아버지까지 4대를 임금으로 추존하면서 태조와 태종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제2대 조선 국왕인 정종은 계통에서 제외했다. 이성계의 고조부 목조, 증조부 익조, 조부 도조, 아버지 환조, 그리고 태조 이성계와 태종 이방원을 '해동육롱'이.. 한국 2015.06.09
283 / 서양인의 조선살이 - 정성화, 로버트 네프 지음 -150615 읽기 시작함. - 이 책은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부터 1910년 한일합방'까지 서울에 거주했던 서양인들의 이야기 이다. -4-' - 1897년 정동의 공사관거리 15번지에 위치한 서울그로서리 는 외국인 고객에게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들여온 식료품과 저장품을 판매했다. 당시 서울에서는 .. 한국 2015.06.09
282 / 1960년을 묻다 - 권보드래, 천정환 지음 -150613 읽기 시작함. - 1960.4.19일, 유혈사태이후, 미국의 비판적 개입이 겹치자 이승만 정부는 지반을 잃으면서 마침내 4.26일 이승만의 하야성명이 발표되어, 혁명화된 상황에 종지부를 찍엇다. 시위주체인 대학생들은 "학원으로 돌아가자, 질서를 회복하자" 고 목소리를 높엿다. 4.26일의 하.. 한국 2015.06.09
281 / 20세기 우리역사 -강만길 지음 - [150610 읽음.] - 어느 시인이 "모든 강물은 바다로 흐른다 백두산위에 떨어진 빗방울이 바다로 흘러가는 그 이치를 아느냐" 고 한 시구가 기억난다. 좌측으로 흐를 때도 잇고 우측으로 흐를 때도 있지만 결국 모든 강물은 바다로 흘러가게 마련이지요.인류의 역사도 장구한 세월을 통해 결.. 한국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