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799/ 명리명강- 김학목 지음

최해식 2019. 5. 4. 18:21

-干支암기  http://blog.daum.net/chscoral/2047


甲乙목, 丙丁화, 戊己토, 庚辛금, 任癸수

(음양구분= +-+-+-........순으로 )

寅卯辰목, 巳午未화, 申酉戌금, 亥子丑수, 辰未戌

+ - +      + - -      + - +      + - -)

(시작은+,중간은- / 봄,가을土=+,여름,겨울土=-)

 -165-



四柱 ;甲辰 時,丁亥 日,甲寅 月, 癸巳 年       





正印


정인

扁官

傷官

正官

정인

급재





화를 기준으로 "내가 낳는 것은 토이고, 나를 낳는 것은 甲,목이며,  내가 극하는 것은  금이고,  나를 극하는 것은 癸,수이며,나와 패거리가 되는 것은 화이니" 육친을 바로바로 떠올릴 수 잇도록 충분히 반복하여 연습해야 한다. -74-

-육친은 사주에서 일간인 나를 중심으로 다른 인자들과의 생극 관계를 음양과 오행으로 나눠 명칭을 붙인 것이다. ........比肩은 食傷을 낳고,食傷은 財를 낳으며,재는 官을 낳고,관은 印을 낳으며,인은 나와 比劫을 낳는다. 相剋으로 나와 比劫은 財를 剋하고, 財는 印을 剋하며,인은 食傷를 剋하고, 식상은 관을 극하며,관은 나와 比劫을 剋한다.-78-


-명리학은 합리적인 과학이다.- 미신이 아니라 논리를 체계적으로 쌓아 간다. (표지글에서.....)

-명리학은 나를 닦는 마음공부다. 삶을 되돌아보고 이해하는 거울이다.(표지글에서.....)


-계절의 변화로 보는 오행 여름은 봄부터 자라나기 시작하여(분출↑) 여름에 활짝 꽃을 피웠다가 (확산↔) 가을부터 힘이 빠지기 시작하여 (수렴↓) 겨울에는 힘도 못 쓴 채 없어진다 (응축→←).

겨울은 가을부터 힘을 받기 시작하여 겨울에 왕성하게 활동하다가 봄이 오면 맥이 빠져 골골거리고 여름에 죽어 버린다. 음양오행론을 알면 사람의 운명 곧 적성,성격,직업,재물,배우자 등에 대해 모두 유추할 수 있다. -17-


-물의 변화로 보는 오행  ; 얼음은 가을부터 서서히 얼기 시작하고,수증기는 봄부터 서서히 생겨나기 시작한다. 그러니 얼음은 가을부터 힘을 받아 겨울에 한껏 자신의 힘을 자랑하다가 봄부터 힘이 빠져 여름에 사라지고,  수증기는 봄부터 힘을 받아(분출↑)  여름에 한껏 자신의 힘을 뽐내다가(확산↔)  가을부터 힘이 빠져 (수렴↓ 겨울에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다.(응축→←)  ........물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하며 순환하는 것처럼 사람도 운명이 파동을 겪으며 생멸한다는 것이다.-19-


-火는 봄인 木에서부터 자락 시작하여 여름에 활개를 치다가 가을인 金부터 힘이 빠지기 시작하여 겨울인 水에서 사라지는 것이 오행의 상생,상극이다. ......이처럼 명리학은 학문적 토대를 기초로 사람의 운명을 유추하는 과학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22-


-명리학은 수행을 위한 공부이다. 현재의 삶에서 자신이 해결한 일이 무엇인가 깨닫기 위해 명리를 공부해야 한다. .....명리학은 음양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법칙을 이용하여 인생을 유추하는 학문이다.-24-


-水生木=비가 온 다음에 나무가 자라는 것.

木生火=나무에 불을 붙이면 활활 타오른다.

火生土=불이 꺼진 다음 재가 남아 흙이 된다.

土生金=흙이 단단하게 굳어 쇠가 된다.

金生水=단단한 암반층위에 물이 솟아난다.

水克火=물을 뿌리면 불이 꺼진다.

火克金=용광로에 넣으면 쇠가 녹아 버린다.

金克木=쇠도끼로 나무를 자른다.

木克土=나무가 뿌리를 내려 땅이 갈라진다.

土克水=흙을 쌓아 물을 막는다. -38-


-사주를 능숙하게 보기위해서는, 하나의 오행이 어떤 오행을 억누르며 이어지는지 생각하지 않고도 바로 알 수 있어야 한다. ........"木은 水가 낳아 주고 火를 낳으며, 木은 金이 관리하고 土를 관리한다."水生木,木生火,金克木,木克土

........"화는 목이 낳아 주고 토를 낳으며 수가 관리하고 금을 관리한다."木生火,火生土,水克火,火克金

........"토는 화가 낳아 주고 금을 낳으며 목이 억누르고 수를 억누르는 것이다."

........"금은 토가 낳아 주고 수를 낳으며 화가 억누르고 목을 억누르는 것이다."

........"수는 금을 낳아 주고 목을 낳으며 토가 억누르고 화를 억누르는 것이다."

머릿속으로 몇 번 연습하는 정도로는 부족하다. 능숙해질 때까지익혀야 한다. 책 읽는 속도를 며칠 늦추더라도 충분히 연습하기 바란다. -40-


-木을 낳아주는 것은 무엇이고, 木이 낳는것은 무엇이며,木을 억누르는 것은 무엇이고, 木이 억누르는 것은 무엇인지......저절로 답이 나올 때까지 연습하길 바란다. -41-


-天干은 하늘의 기운氣이 생장하고 소멸하는 흐름을 5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地支는 땅의 형질質을 5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43-


-10天干 ;

甲木,乙木,丙火,丁火,무토,기토,경금.신금.임수.계수,


-명리학은 음양오행론을 이해하면 저절로 알게되는 논리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과학이다. 그것은 미신이 아니다. -47-


-천간,지지의 인자하나하나도 머리에서 저절로 떠오를수 있도록 철저히 연습해 두어야 한다.

日干이 陽土인 戊土인데 지지에 陽木인 寅木이 있을 경우, 인목이 무토를 극하는 동시에 양목이 양토를 극했다. 는 사실을 바로 계산하지 않고 알 수 잇어야 앞으로 배울 육친론이 쉬워진다. -59-


-천간의 합; 갑기합토, 을경합금, 병신합수, 정임합목, 무계합화-96-

   천간의 沖 ; 갑경충, 을신충, 병임충, 정계충  -98-

지지의 육합; 자축합토, 해인합목, 묘술합화, 진유합금, 사신합수, 오미합화. -106-


-甲 힘의 변천사 ;

 水(겨울)부터 자라기 시작해서,木(봄)에 왕성하고,火(여름)에 쇠약.시작하고,土(늦여름,초가을)거쳐,金(가을)에는 사라진다. -107-



-丙 힘의 변천사 ;

 木(봄)부터 자라기 시작해서,火(여름)에 왕성하고,土(늦여름,초가을)거쳐,金(가을)에 쇠약.시작하고, 水(겨울)에는 사라진다. -107-



-삼합 ; 巳酉丑 ▶庚,丁,己

陰干인 丁火는 12지지를 거꾸로 돌기 때문에 가을의 酉金에서 나와 자신의 계절인 巳火에서 찬란하다가 반대 계절인 겨울이 본격적으로 닥치기전에 丑土로 들어가 숨는다. -116-


-연,월,일,시라는 네 개의 기둥인 四柱는 곧 수많은 조상님들年柱이 계셔서 본인의 부모님月柱을 낳으시고,부모님이 본인日干을 낳으시고,그 본인이 배우자日支를 맞이하여 자식들時柱 낳고 살다가 사라지는 것이 인생이다. .....육친으로 음양오행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니 생각하지 않아도 먼저 육친이  바로 머리에 떠오를 수 잇도록 아주 충분히 연습하길 바란다. -118-


-사주를 연구하다 보면 부모나 조상의 영향이 마치 유전자처럼 후손으로 계속 이어진다는 것이다.  굳이 "선한 일을 많이 하면 반드시그 후손이 복을 받고, 악한 일을 많이 하면 반드시 그 후손이 화를 당한다"는 [주역]의 말을 생각하지 않을지라도  마음을 닦으며 천지의 흐름에 따라 바르게 살라는 것이 선현들께서 명리학을 남기신 이유다.  -160-


-사주의 감정은 일간을 중심으로 한다. 일간이 자기 자신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162-


-연주,월주,일주,시주의 상징 ;

"수많은 조상님들이 부모님을 낳으시고,부모님이 나를 낳으시니.내가 日支의 짝을 만나 시주의 자식을 낳으며 살아가는것이 인생이더라!  " 라고 외우길 바란다. -167-




-"천을귀인" 은 사주에 적용해 보면 신기할 정도로 잘 맞지만

그 이유가 무엇 때문인지는 아직 논리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명리를 모를 때는 타고난 기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천지의 기운에  휩쓸려 그렇게 살아간다. 그러나 그 기운 때문에 인생이 그렇게 요동친다느 것을 알 때 비로소 조용히 내 자신을 돌아보며  몸과 마을을 다스릴 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명리학을 세속의 잡된 술수로 봐서는 안되고 수행을 시작하게 하는 거룩한 학문으로 봐야 한다. -180-


-同氣相應= 같은 기운은 서로 호응한다고 했다.

천지는 陰陽五行으로 기운을 뿌리면서 흘러가고 어느 순간 태어난 생명은 그 시점에서 오행의 기질을 받아 그것을 가지고 세상과 반응하면서 죽을 때까지 사는 것이다.-183- 


-"천을귀인" 정도는 암기하고 잇어야 한다.

甲戊庚은 丑未

乙己는 子申

丙丁은 亥酉

辛은 寅午

壬癸는 巳卯    -186-


-명리학은 因果應報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자신이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공부로 타력이 아닌 自力 깨침의 학문이다.   그래서 명리학을 수행의 학문이라고 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니 "나의 인생이 우연히 이 세상에 온 것이 아니라  과거 전생에서부터 매순간의 업보가 쌓여 그 필연적 결과로 현생에 왔을지도 모른다." 라고 조용히 생각해 보기 바란다. -192-


-죽음으로 몸은 사라질지라도 그 사람이 추구하고 만든 삶의 모양은 에너지 형태로 남아 그것을 잘 받아들여질수있는 육체와 시간을 찾아 다시 태어나니 그것이 다음의 생이다.  삶을 반드시 건전하고 아름답게 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잇다.     명리학에서 보면, 현재의 삶은 전생의 연장선에서 다음의 생을 준비하는 중간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204-


- 四柱 감정은 日干을 중심으로하여 六親이 더올라야 한다. -216-



-다음 시작은 -217-부터 할것.


-.........-311-끝.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