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110읽음.
- 고지키古事記는 일본의 건국사를 신화와 전설을 주 내용으로 해서 정리한,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16-
- 니혼쇼키日本書記가 성립된 것은 720년이지만,편찬을 시작한 것은 덴무天武 천황 때이다. ........편찬자는 '도네리신노舍人親王'를 중심으로 한 다수의 사람들이다. 중국의 [사기]에 뒤지지 않는 국가 단위의 정식 사서를 만들기 위한 의도로 편찬되었다. 제목에 '일본' 이란 나라이름을 넣은 것도 해외에 이 책의 존재를 알리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23-
- [고지키] 와의 차이점 정리 ;
[니혼쇼키] 는 [고지키] 와 대단히 비슷한 점이 많다.
신들의 이야기를 비롯해서 건국 초기부터의 일본 역사를 다루고 잇다.
[고지키] 와 달리 [니혼쇼키] 는 본래의 이야기 이외에도 따로 전하는 이야기가 있으면 그것도 같이 병기하고있어서, 당시 신화의 복잡한 전승상태를 그대로 보여 주고 잇다.
[고지키] 는 전체의 1/3을 신들의 이야기에 할애하고 있어 역사서로서의 객관성은 약하지만, 신화.전설.가요를 중심으로 문학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것에 반해, [니혼쇼키]는 역사적 사실이 중심이 되어 문학적인 성격은 약하다.
또 [고지키]는 비교적 구체적이고 주관적인 관점에서 논하고 잇지만,
[니혼쇼키]는 역사서로서 논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논하고 있다. 실제로 [고지키]의 목적은 국내적으로 사상을 통일하는 데 잇었지만, [니혼쇼키] 는 그보다 더 나아가 대외적으로 국위를 선양하는 데 잇다.
[니혼쇼키]는 역사서로서의 가치는 인정받을 수 잇지만,문학적 가치는 [고지키] 가 훨씬 높게 평가받고 잇다. -25-
- [겐지모노가타리] 는 모노가타리 문학의 집대성인 동시에,이로 인해 본격적인 일본의 소설문학잉 시작되엇다고 볼 수 잇으며,이후의 작품에 끼친 영향 또한 막대하다.
.......성립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11세기경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작자인 무라사키 시키부 紫式部는 중류계급 출신으로 그녀의 아버지는 후지와라 다메토기藤原爲時로 유명한 한학자이면서 가인으로 그 재능을 널리 인정받았다고 하니, 작자의 뛰어난 문학적인 소질이 이런 가계에서 영향을 받은 것은 확실하다. -74-
- 중세시대 개관 ;
가마쿠라鎌倉(1192~1333)와 남보쿠초南北朝(1333~1392), 무로마치室町(1392~1603)의 세 시대에 걸친 중세시대는 무사 집안으 세력에 의해 귀족계급이 몰락하여,무사계급이 정권을 잡고 무사들끼리 세력다툼이 연속하여 일어난 시기이다.무사들잉 서로 힘으로 정권을 차지하려고 하는 바람에,전쟁과 반란,하극상의 피 바람이 끊이지 않아 사람들은 대단히 불안한 시대를 보낸다. -139-
- '오토기조시御伽草子' 란 무로마치시대부터 에도시대 초기에 걸쳐 성립된 단편소설들로 '오토기조시'라는 이름은 에도시대에 오사카의 서점에서 23편의 단편소설을 '오토기분코御伽文庫'라고 이름 붙여서 판매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류의 소설을 오토기조시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본고전소설 총론 - 김현정 지음] -204-
- 근세시대 ; 에도江戶막부가 설립된 1603~1868 메이지이신明治維新이 행해진 시기 까지를 말한다. 정치의 중심이 에도江戶에 있기 때문에 에도시대 라고 한다.-215-
-........-311-끝.그냥 봅.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1/겐지이야기2 - 무라사키 시키부 지음, 김난주 옮김 (0) | 2016.01.06 |
---|---|
400/겐지이야기1 - 무라사키 시키부 지음, 김난주 옮김 (0) | 2016.01.06 |
398/ 창가의 토토 - 구로 야나기 테츠코 지음, 김난주 옮김 (0) | 2016.01.06 |
397/ 인간 수컷은 필요없어 - 요네하라 마리 지음, 김윤수 옮김 (0) | 2016.01.04 |
396/ 발명 마니아 - 요네하라 마리 지음, 심정명 옮김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