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왕 정은 [고분] [오두] 두편을 읽고는 매우 기뻐했다.-53-
** 11편 孤憤 ; 군주를 에워싼 측근,권력을 장앇한 중신들의 전횡으로 法術之士가 인정받지 못하는 당시 체제에 대한 강력한 정치 비판론이다.
49편 五蠹 ; 儒,墨유묵을 특히 비현실적이라 비판하고 법치의 필연성을 강조하고, 나라 안에 존재하는 기생충과 같은 국정이 어지러운 틈을 타서 혼란을 조장하는 자들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나무 속을 파먹는 좀벌레墨묵에비유한다.
- 勢는 세력 또는 권위를 말하고, 法은 법제를 말하고, 術은 일을 처리하고 사람을 다루는 방법 또는 치국책을 말한다. -77-
- 수주대토;
송 사람으로 밭갈이하는 자가 잇었다. 밭 가운데 나무 밑동이 있어 토끼가 달아나다 나무 밑동에 걸려 목이 부러져 죽었다.
宋人有耕田者,
田中有株
兎走觸株
折頸而死 -183-
- 군주가 신하를 제어 하기위하여 의존할 것은 두 개의 칼자루(二柄)
뿐이다. 두 개의 칼자루란 刑과 德이다. 무엇을 일컬어 형과 덕이라고 하는가, 처벌하고 죽이는 것을 형이라 하고 칭찬하고 상주는 것을 덕이라 한다. 신하된 자는 죽임당하고 벌받는 것을 두려워하고 상 받는 것을 이익으로 생각한다.
........호랑이가 능히 개를 굴복시킬 수 있는 까닭은 발톱과 얼금니를 가졌기 때문이다. 가령 호랑이가 발톱과 어금니를 버리고 개에게 그것을 쓰도록 한다면 호랑이가 도리어 개에게 굴복할 것이다. 군주란 형과 덕을가지고 신하를 제압하는 자이다. 만일 군주가 형과 덕의 권한을 놓아두고 신하로 하여금 그것을 쓰도록 한다면 군주는 도리어 신하에게 제압 당할 것이다. -209-
- [46편 六反]
어머니 사랑이 두터운 곳에 못된 자식이 많은 것은 사랑을 미루어 나가기 때문이다. 아버지는 애정이 박하고 매질로 가르치지만 착한 자식이 많은 것은 엄격하게 하기 때문이다. -264-
- [28편 공명]
천시를 어기면 비록 堯요.가 열 사람이라도 겨울에 벼이삭 하나 나게 할 수 없고, 인심을 거스르면 비록 맹분이나 하육이라 할지라도 사람들에게 힘을 다하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천시를 얻으면 힘쓰지 않아도 저절로 나고, 인심을 얻으면 재촉하지않아도 저절로 일하게 된다. .........마치 물이 흐르는 것과 같고 배가 뜨는 것과 같다. -265-
- [49편 오두]
옛날과 지금은 풍속이 다르고 새 시대와 구시대는 대비함이 다르다. 만약 너그럽고 느릿한 정책으로 급박한 세상이 백성을 다스리려 한다면 마치 고삐나 채찍도 없이 사나운 말을 부리려는 것과 같다. -289-
- [50편 현학]
얼음과 숯불은 같은 그릇에 오래 있지 못하고, 추위와 더위는 때를 함께하여 이르지 못하며, 잡박하고 모순된 학설은 양립되어 다루지 못한다. -299-
-.........-322-끝.그냥 봄.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9/ 왜 지금 한비자인가-신동준 지음 (0) | 2018.03.25 |
---|---|
678/ 한비자-김예호 지음 (0) | 2018.03.25 |
676/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자처럼 행동하라-상화 지음 (0) | 2018.03.25 |
675/ 가슴에는 논어,머리에는 한비자를 담아라-이철 지음 (0) | 2018.03.25 |
674/ 천년의 내공-조윤제 지음 (0) | 2018.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