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802/ 지천명리 격과 그릇- 덕연 지음

최해식 2019. 5. 4. 18:29

-명리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인간의 근본 원리를 깨우쳐 현실 세계를보다 현명하게 살아가기 위함이다. -11-


-공자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子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이 말은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버지는 아버지다워야 한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뜻이다. 즉 이름에 걸맞게 행동해야 한다는 뜻이다.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면 나라가 어지러워지고,  신하가 신하답지 않으면 임금을 기망하고, 나라를 어지럽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또 아버지가 아버지 답지 않으면 가정이 어지러워지고,  자식이 자식답지 않으면 이 또한 가정이 편치 않기 때문이다. -21-


-사주를 공부하는 것은 인생의 전체적인 통찰력을 길러주기 위한 도구이다. .......첨단 스마트폰이 아마존 원주민에게는 무용지물이듯이 명리학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철학이 될 수 있고,심심풀이 사주놀이로 전락할 수도 있다. 무엇으로 만드는가는 여러분의 몫이다. -23-


-五行은 진리를 바라보는 눈이다. .....五行은영원한 대자연으 분열과 통합의 반복 운동을 표현하는 것으로 끝없이변화하는 우주의 질서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음양오행의 질서를 공부하는데 더욱 집중하여라-29-


-1)木論

水生木을 받은 木이라면 지구력이 풍부하고,받지 못한 木이라면 龍頭蛇尾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수생목을 받은 木이라면 부모덕이 되었건 타인의 후원이 되었건 밑천이 든든한 것이다. .....木이라는 것은 溶出용출이라 표현하였다.-30-


-


-육십갑자는 자연의 깊은 섭리가 녹아들어가 있다.  육십갑자의 이해는  사주의 전체적인 환경과 그릇을 판단하는 데 아주  중요하고  사주 해석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깊고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육십갑자는 문장마다 의미를 잘 되새겨 보면 깊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태어난 월은 月令이라 하여 사주 내에서 한 개인의 행동반경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月이기 때문이다. -83-


-


-寅月生(寅申少陽相火)

사주 月支가 인월에 태어난 사람을 말한다.  사주팔자에서 한 개인의 행동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月이기 때문에 월지는 그 사람의 행동에 많은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84-

출전   https://www.youtube.com/watch?v=LNaAlbvgXDg&list=PLBkql6mXFjLUpozsPJiocC6JiufPv58mW&index=1

(51':40" ) 참고.


-甲寅 -86-





정인


정인

편관









상관

정관

정인

급재


80 70 60 50 40 30 20 10  0   대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인

寅月의 木은 그동안의 수난과 고난을 알아달라는 것이고 자존심이다. 그것이 甲寅이다. .....甲寅은 점잖은 모습에 자존심을 유지하며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켜 나가며 실력 중심의 삶을 살아간다.-86-

-年干에 편관이 있으면, 조상이 한때 이름 날리거나 권세가 높았다. -369-

-年支에 급재=어린시절부터 주변 세력을 흡수 통일한다. 집안의 대소사를 담당하고 일찍 사업을 시작하게 되며 조상의 혜택을 본다-356- -月干에 정인= 자격증 중심의 사회 진출을 말한다. 식상에 근이 있으면 기술 자격증이고, 재성에 근이 있으면 금융 관련 자격증 등 지지의 육친을 부합해서 해석하면 된다.  부모 때의 학식이나 원만한 부모 후원을 말하며 젊은 시절 이루어 놓은 업적이나 실적, 자격 등을 통해 평생 먹고 살아가려느 마음으로 교수,선생,의사,변호사 등의 경우이다. 어머니가 가정을 이끌고 주도했음을 말한다. -371-

-月支에 정인= 글과 학문을 수단으로 한 수입을 말한다. 부모때의 부동산이나 유산 등 부모의 원만한 후원을 말하고 인자롭거나 자식의 성공을 기다려 주는 어머니의 뒷받침을 말한다. -371-

-時干에 정인= 말년 학문성을 의미하며 먼 곳에서 이룬 자격이나 학위 등을 말한다. 말년에 이루어 놓은 빛나는 업적이거나 그로 인한혜택을 의미한다. -372-

-日支에 정관= 바른 배우자를 말한다. 또한 집안에도 법과 원칙이 엄하다. 집을 직장으로 하는 재택근무를 할 수 있다. 남자는 자식과 동거하며 여인은 남편의 조력을 얻어 사회 활동을 할 수 잇다.  중년 이후 年月에 관성이없고 日에만 있는 경우, 중년 이후 사회조직을 만들어 명예를 세우는 일을 하게 된다. -368-

-時支에 상관= 말년에 집안의 형식이 깨지는 것을 말핮다. 말년에 망신,자식 부부의 불화, 이혼 등 자신의 가정 형식을 깨는 것이니 말년의 고독을의미한다. 말년에 스스로 먹을 것을 구해야 한다는 의미가 있고 말년의 여유로움보다느 말년이 더다사다난하다. -362-


-月令의 판단법;    (태어난 월을  月令이라 한다)

월령이 비겁= 사업이나 교육 등 타인을 주도하고 리드 하는 것을 인생의 방향으로 삼고,

식상= 재능이나 기술을 중심으로 한 활동을  인생의 방향으로 삼고,

재성= 경영과 상업이 인생의 방향이되고

관성= 직장 등 조직사회가 인생의 방향이 되며

인성= 글과 학문 또는 이권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을 인생의 방향으로 삼게 된다.

가령, 인성을 격으로 삼고있는데. 겨울에 태어났다면 정신적인 공부가 되고

봄에 태어났다면 디자인.문학.설계등의 공부가 될 수 잇다.

여름에 태어낫다면 의료. 방송,법무,행정 등 세속적으로 인기 있는 공부가 되고

가을에 태어났다면 세무.전자,기계.요식.금융 등의 공부가 된 수 잇다.

이런관점에서 격이란 어떤 팔자가 인생을 살아가는데 큰 중심적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생의 방향성을 규정하는 틀. 이다.-170-


- 寅月에 甲木일간이라면,  木氣가 왕한 계절에 태어났으므로 甲木이 得令득령한 것. 이라고 한다.

月은 자신이 태어난 월로서 사주상 기운적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간지이다. 그래서 月支를 月令이라고 부르며 사주의 기본틀을 의미한다. 月이란 금묘화실 중 苗에 ㅐ해당하므로 학문성이나 인생의 방향성을 잡는 구간이기 때문에 자신이 주도하는 사업이나 컨설팅 등 주도하는 삶을 살아간다는 의미이다. -198-


-月令 은  四柱의 환경중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글자이다柱는 나를 의미하는 日干이 주체가 되지만  월의 환경이라는 조건속에서 일간의 관점이 펼쳐지기 때문에 월의 환경은 상황을 의미하고 분석의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사주는  월지의 환경속의 일간과 주변 글자들의 동태를 파악해야 한다.   다시말해 덥고 습한 날 태어났으면 덥고 습하기 때문에 金을 좋아하게 되고, 水를 꺼리게 된다.   -202- 


- 根苗花實적으로 보면 월령은 싹이 움트는 자리로서 그 사람의 직업결정과 삶의모습을 규정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물론 연월일시중 그 사람의 인생의 방향을 크게 결정하는 ㄳ것은 월이므로 월을 중심으로 나머지 환경을 해석해 가는 것이 최우선이다. -209-


- 9) 正印格    

정인을 月支에 가지고 태어났을 때 정인격이라 한다. 또한 월지에 있을 때 가장 강하게 작용된다. .....正印格은 인성 중심의 삶을 말한다. 글과 학문을 쫓고  자격증 등 유형,무형의 이권이나 권리를 갖고 살아가느 것을  말한다.  인성이란 생각하는 별로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생각하며 이런 저런 궁리를 많이 하는 별이다. 정인은 어머니의 마음과 같으니 그래서 인성은 기다리는 것을 좋아하며 서두르는 법이 없다. 또 타인에 대한 의존성이 많아 주기보다는 받기를 좋아하며 행동하기보다는 머리로서만 해결하려 하니 사주 구조가 좋으면 생각이 깊은 사람이고 사주구조가 나쁠 땐 잔머리만 굴리는 사람이다..........정인은 음양이 짝지어져 바른 것이니 인성이 관성의 생을  잘 받으면  학업성취가 원만히 이루어지고 부모덕도 원만하여 부모나 후원자의 덕을 보고 산다.            일반적으로, 인문,사회,행정,국문학 등 전통적인 공부를 선호하는 것이 정인의 특징이다.  -238-


- 월령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중심이 되는 환경이다. 같은 달에 태어났을지라도 태어난 시간에 따라 그 사람의 삶의 환경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여름날 낮에 태어난 사람과 밤에 태어난 사람은 온도와 습도가 다르게 되어 처음엔 비슷한 양상을 보이다가도 시간이 흐르면서 전혀 다른 삶의 변화가 나타난다. 그 이유는 根苗花實적인 관점도 있고, 조합되는 글자가 달라서 運에 의해 반응하는 시점이나 방식이 변화되어 運命도 다르게 전개되기 때문이다. -269-



- 월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그 주변글자의 조합에  따라 원래모습이 변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월령이 관성으로 되어 있어 직장생활을 하는 사주 구조를 가졌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간지에 비겁이 많다면 운에 의해 사업을 하게 된다.     또 월령에 비겁이 들었어도 나머지 글자에 관성이 많으면 운에 의해  직장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월령이 비겁이라면 그 속성은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어서 직장생활을 ㅁ 하면서도 타인을 리드하려는 성향을 함께 사용하게 되니 조직에서 리드나 컨설팅,교육 등과 관련된 직장생활을 하게 딘다. 또 관성이 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면 운에서 사업을  하는 운이 올지라도 일반적인 자영업이 아닌 조직이나 회사와 관련된 형태의 일을 하게 되거나 자신이 사업을 통해 조직을 만든다. -270-


- 지구의 지축이 틀어져 계절이 변화하듯 만물은 균형을 잃게 되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변화하게 된다.이것이 우주의 이치이다. -317-


-근묘화실론은 干支이론이며 좀더 세분화하여 상호간의 연결성을 관찰하는 기법을 말한다. 년(根)은 처음이며.바탕이고 근본이고 전생이고, 월(苗)과 일(花)은  과정이며 변화이고 현생이다.  시(實)는 결실이고 결말이고, 來生을 표현한다. -341-


-근묘화실의 의미 ;

일(花)은 년으로부터 부여받은 근본적인 터전과 月의 기초 위에 어떤 꽃을 피울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日은 꽃 花자를 써서 어떠한 꽃의 모양을 말한다. ......日干은 거시적으로 년과 월의 영향을 받고 日柱에 영향을 미쳐 日이라는 꽃이 피고,日은 다시  時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343-


-사주학= 시공의 학문이다.  시공의 학문이란 똑같은 글자를 가지고 태어났어도 어디 있느냐에 따라 다르고 언제 쓰이느냐에 따라서도 다르다. 사주에 丁이라는 글자는 年月日時중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다르고 그것을 생각하고 바라보는 입장도 모두모두 다르다는 의미이다. -346-


-육친의 根苗花實 ;

1)비견 ;  천간의 비견= 협동,배분,분탈,경쟁의 별로 본다.                 지지의 비견=주체성,독립성,주도적 활동의 별로 본다.

2)겁재 ;  천간의 겁재= 뺏고 뺏기는 이권 다툼이 있다.

지지의 겁재= 큰 세력을 얻기 위한 야망,야심을 말한다.

3)식신 ;  재능과 수단. 을 말한다.

4)상관 ;   봉사정신.  남을 배려하는 마음. 이 투철하다.

5)정재 ;   합리적 이득.정당한 이익.을 얻고자 하는 마음이다.

6)편재 ;   재물을 크게 주무른다.손익계산에 밝은 능력.이 있다.

7)정관 ; 선비의 별. 조직사회에 의지하여 살게 된다.

8)편관 ; 유연.탄력적으로 넓은 사회활동을 한다.

9)정인 ; 학문을 좋아한다. 타인에게 의지심이 강하다.

10)편인;이상적인 사고를 가짐. 사상가.철학가 종교인.과학자가 많다. 


-물을 주고 태양을 비추는 행위가 바로 음양의 조화인 것이다.하루라는 시간은 木火土金水의 조화가 이루어지고 소통된 것을 말한다. -417-


-좋은 땅에서 살면 잘되고 나쁜 땅에서 살면 잘 안 되는 것이다. 하늘에서 부여받은 사주팔자는 씨앗과 같고,  땅은 밭과 같으며 부모 등 인간관계는 날씨와 같은 것이다. ......사주팔자를 알면 타고난 그릇을 알 수 있고,발전하는 시기와 쇠락하는 시기를 알 수 잇으니 현실적 삶에 비추어, 보다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420-


-無知와 無明

이 세상은 보이지 않는 것에 의해 운행된다. 서양에서는 에너지라 표현하고,동양에서는 氣라고 표현한다. 이 세상 모든 것은 氣다.

기는 공기중에 떠다니는 기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는 중력이나 자력같은 것일 수도 있다. 손으로 만질 수있는 것도 氣다. 다만 기의 형태가 아주 작으면 눈에 보이지 않고  크면 눈에 보이고 만져질 뿐이다. 결국 같은 것이다. ....無知는 無明으로부터 비롯된다. 그 無明을 밝히는 길은 심신을 닦아 자연의 이치를 공부해야만 가능하다.  陰陽五行공부는 그러한 대자연의 이치를 깨달아가는 공부다. -421-


-동양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최소한 무지의 때를 벗어 던지려는 사람들이다.  나의 근본을 알고 미래를 헤아린다면 현재를 잘 살아갈 수 있는지혜를 더 얻게 된다. ......우리가 사주팔자를 공부하는 이유는 현재를 현명하게 잘 살아가기 위함이다. '사주팔자' 라는 것은 다만 그렇게 태어나서 현재를 살고 있는 나를 바라보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것일 분이다. -423-

-.........-427-끝.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