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84.어린이 교육,공자에게 묻다-김미라 지음

최해식 2014. 11. 8. 05:38

-근세 100여 년 사이 아무 준비 없이 갑자기 쏟아진 자본주의 문화에서,개인ㄴㄴ주의 사상에서 이기적인 삶으로 자리 잡게 되자 사람과 사람이 관계는 소흘해 졌다.

지식만 가득 주입시켜 명문대에 보내야 했고,회사에서도 출세하려면 상대를 밀어내야 그 자리가 내 것이 되는 풍토이다. 이론만 풍부하고 경험이 없는 출세만능주의 교육에 밀려 인성교육은 뒷전이다. 전통사회에서 추구했던 윤리적인 삶의 가치는 무너져 버렸다...........

명예나 재물을 보고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회는 결코 생명이 길지 못할 것이다.모극어를 사랑하고 부모를 존경하며 형제우애와 이웃과 친해야 하는 도덕성을 1순위에 놓을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시켜야 세계화 시대에 어울릴 수 잇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을 존중해 주는 사람을 가까이 하고 싶은 심리가 있기 때문이다.-6-

 

-옥은 쪼지 않으면 그릇을 이루지 못하고,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道를 알지 못한다고 했다.[예기]<學記>玉不琢탁,不成器,人不學,不知道-61-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자신의 몸을 훼손시키지 않고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고,인간의 도리를 실천하여 자신의 명성을 세상에 알리고 부모의 이름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도의 끝이라고 했다.  [효경]<開宗明義>子曰夫孝德之本也,敎之所由生也,身體髮膚受之父母不敢毁傷孝之始也,立身行道揚名於後世以顯父母孝之終也.-100-

 

 

-[논어]<안연>편에서 제자 안연이 공자에게 仁에 대해 묻자 "자신의 사욕을 여겨 禮로돌아가는 것이 인을 행하는 것 " 이라 하고 여기에서 인을 행할 수 잇는 조목에 대해 설명했다. 즉 보아야 할 것이 아니면 보지 말며,들을 것이 아니면 듣지 말 것이며,말할 것이 아니면 말하지 말며,행동하지 말아야 할 섯이면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禮'의 의미는 '상황에 맞는 것' 을 뜻한다.  [논어]<안연>子曰 非禮勿視,非禮勿聽非禮勿言,非禮勿動.   -106-

 

 

-九思는 '아홉 가지를 생각한다' 는 뜻으로서 [논어]<계씨.편과 [격몽뇨결]<지신>장에도 그 내용이 포함되어 잇다.

시사명

청사총

색사온

모사공

언사충

시시경

의사문

분사난忿思難 : 화가 날 때 자제하지 않으면 곤란하게 되니 화날 때에는 후환을 생각하라.

견득사의 가 있다.-187-

 

 

-(아동기에는 마음가짐과 생각함에 잇어 아직 주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시기이다.그러므로 어른들이 날마다 격언과 올바른 의견을 앞서 제시해 주어야 한다.)  아이가 비록 당시에는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지속적으로 가르쳐서 몸에 가득 차게 해야 한다. 이것을 반복하다 보면 저절로 익숙해져서 마치 전부터 알고 있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잇다는 이치이다. 그러므로 다른 말로 미혹 시키려 해도 미혹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같이 어린 시기의 마음가짐 교육은 성인이 되어서 올바른 사고를 할 수 잇도록 하는 밑바탕이 될 수 잇다. -188-

 

 

-'송각' 의 [교자손어敎子孫語] 에는  ...... 횡거 장 선생은 글을 많이 읽고도 잘  잊어버리는 것은 올바른 뜻을 정밀하게 이해하지 못한 때문이다. 그 뜻에 의심이 있다면 즉시 종래의 견해를 씻어버리고 새로운 뜻이 들어오게 해야 하며 책을 읽을 적에는 암송해야 하고 정사하기는 다분히 밤중이 좋다.  -257-

 

 

-아이는 어른의 등을 ㄹ보고 배운다' 와 같이 어깨너머 교유ㅜㄱ으로 할아버지,앙버지의 모범적인 생활이 아이들의 롤 모델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올바른 덕성으로 부모님 ㅂ 말씀에 실망시키지 않으려 했던 자식들의 자존심을 길러주었다.

" 난도 아버지처럼 되어야지"

" 나도 할아버지처럼 살아야지" 라는 훌륭한 선조의 후손으로서 가진 자존심이 과외공부보다 가치 있는 정신교육이엇음을 보여주고 있다. -264-

 

 

-가지를 '몸' 이라 한다면 뿌리는 '부모  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나무에 뿌리가 없다면 나무는 존재할 수 없으며 나무에 가지가 없다면 나무는 나무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없을 것이다.  인느 그 몸을 함ㄱ 께 하고  있으므로 자식은 부모를 감히 공경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읻. 자신의 몸을 소중히 여기고 공경히 하는 ㅣㄹ은 부모를 공경하는 일이 된다.이는 공자가 증자에게 말했던 "신체와 모발과 살은 부모에게서 받았으니 감히 훼손하지 않는 ㅅ 것이 효의 시작이고,몸을 세우고 도를 행하여 후세에 이륾을 드날려 부모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의 마지막이다.'  에서 알수 잇다..[孝經효경]<開宗明義>孔子謂曾子曰(夫孝德之本也,敎之所由生也)

身體髮膚,受之父母.不敢毁傷,孝之始也.立身行道,揚名於後世,以顯父母,孝之終也.  -271-

 

 

-효를 실천하는 방법으로서 첫 번째가 바로 부모를 마음으로 부터 공경한느 것이다. 그리고 부모를 욕되지 않게 하는 것,즐겁게 해드리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물질적으로 봉양하는  것이다. 또한 부모의 말씀을 잘 듣는 것,부모를 기쁘게 해드리는 것,부모의 뜻을 받들어야 한다. 여기에서 '부모의 뜻' 은 바로 자녀가 훌륭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다. 따라서 부모의 참마음을 아는 자녀는 가장 훌ㄹ륭한 인간이 되기 위해 인격을 도모해야 한다.-272-

감사합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