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他說 上 ;
- 역사의 자취를 뒤돌아보아 판단해 보면 1987년 정묘년 이후로 중국 민족의 기운과 국운은 강희.건륭 같은 성세로 돌아서기 시작할 것이며 거기다 성세의 기운은 이삼백 년간 지속될 것입니다. 그러자면 우리 청년들이 노자의 사상과 학설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23-
- "인위적인 행함이 없는 일에 처한다" 라는 말은, 행하되 인위적인 행함이 없음을 원칙으로 삼아 일체의 행위가 구름이 흘러가고 물이 흐르듯 의리상 마당히 해야 할 일만 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러기가 창공을 날아가듯 바람이 대나무 숲을 지나가듯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말고 가슴속에 조금의 띠끌도 없이 행동해야 합니다.
.....노자는 말했다. "만물은 만들어 내고도 말하지 않는다. 생기게 하고도 소유하지 않고, 행하고도 자랑하지 않는다. " 이 천지간의 만물은 스스로 그 노고를 말하지 않고 만물을 만들어 냅니다. 또 만들어 낸 후에도 끊임없이 자라게 하지만 결코 자신의 소유라고 자처하지 않습니다. 만들고도 다른 사람에게 혹은 천지에 그 공을 자랑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언제나 자신이 만들어내고 성장시킨 성과물을 자신의소유라고 자처하지 않습니다. -98-
-'芻狗추구'는 짚을 묶어서 만든 개이니 당연히 진짜 개가 아닙니다. 솔직히 말해 우리 선조에게 개고기르 먹는 것이 매우 일반적인 일이었고 지금까지도 광동의 동포들은 여전히 개고기를 즐겨 먹습니다. 이것은 선조의 遺風유풍이니 이상하게 생각할 것도 없습니다. -190-
- 속담에도 "사람은 높은 곳을 향해 기어오르고, 물은 낮은 곳을 향해 흘러간다" 라고 합니다. -224-
- 노자 8장에는 사람의 행위가 물과 같이 낮은 땅에 즐거이 거처하기를 잘하고 즉 "거처함에는 낮은 땅이 좋고 居善地, 마음을 물과 같이 수양하여 모든 하천을 받아들이는 깊이와 침묵을 지니고 있고 즉 "마음은 깊은 것이좋고 心善淵" , 행위의 수양을 마치 물이 만물의 생장을 도와주는 것같이 하고 즉 "주는 데는 인함이 좋고 與善仁" , 말을 함에 있어서는 潮水처럼 믿을 만한 준칙이 있도록 힘쓰고 즉 "말은 신의가 좋고 言善信" , -226-
- 君主는 반드시 "아침에는 부지런하고 저녁에는 삼가야 朝乾夕惕조건석척" 합니다. 수시로 경계하고 삼가고 두려워해야 합니다. -234-
출전 ;朝乾夕惕 http://blog.naver.com/kwank99/30169732857
- 관중이 제 환공에게 말했다. "반드시 앞서 말한 즐거움으 ㄹ줄여야지 그렇지 않으면 부지중에 나쁜 데로 빠지고 맙니다" 의 뜻은 바로 목전의 작은 이익만 보고 뒤에 올 큰 악은 계산하지 않는 것을 가리킵니다. 바로 董仲舒동중서가 [춘추번로]에서 지적했듯이 "춘추 240년 중에 군주를 시해한 것이 삼십육 회이고 나라가 망한 것이 오십이 회나 된 것은 자잘한 악이 끊이지 않았던 결과 였습니다. '자잘한 악 細惡'이란 아주 작은 잘못을 가리킵니다. 작은 잘못을 삼가지 않으면 끝내 큰 화를 빚어내고 심지어는 집안이 망하고 나라가 망하는 데 이르고 맙니다. -235-
- 인생은 모름지기 비참함을 겪어야만 비로소 건설하려는 용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239-
- "숭고하면 반드시 타락으로 이르고, 쌓아서 모으면 반드시 흩어져 버린다. 인연으로 만나면 끝내는 모름지기 이별하고, 생명이 있으면 다 죽음으로 돌아간다" 세상일이란 모이고 흩어짐에 영원한 것이 없음을 꿰뚫어 본 불가의 명언이다. 노자의 철학에는 "공수신퇴천지도" 공을 이루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도이다" 일곱 자의 眞言이 있다. ......만약 天道를 살펴본다면, 해는 낮에 나왔다가 밤이 되면 사라지고 달은 밤에 나왔다가 낮이 되면 사라지며 추위가 오면 더위가 물러가고 가을이 가면 겨울이 오는 모든 것이 다 자연이 "공을 이루고 물러가는 " 현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풀,나무, 꽃,열매도 모두 묵묵히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면 조용히 사라져 흔적을 조금도 남기지 않습니다. 동물도 역시 새 생명이 끊임없이 태어나 한 세대가 한 세대를 대신하니, 그 누가 자연스러운 생명의 행렬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말입니까? 오직 있다면 인류만이 죽지 않으려 하고 쉬지 않으려 하며, 잡을 수 없는 것을 잡고자 하고 영원히 소유할 수 없는 것을 소유하고자 합니다. -243-
-
-
- .............-520-끝.잘봄.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734/ 왕필의 노자주-왕필 지음,임채우 옮김 (0) | 2018.09.21 |
---|---|
730/ 노자 타설 下 - 남회근 지음, 설순남 옮김 (0) | 2018.08.26 |
721/ 노자 강의 - 야오간밍 지음, 손성하 옮김 (0) | 2018.07.23 |
707/ 주역계사 강의 -남회근 지음, 신원봉 옮김 (0) | 2018.06.10 |
701/ 주역에서 경영을 만나다 - 사오워 지음, 오수현 옮김 (0) | 2018.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