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도 모르는 할머니가 혼자서 영어 공부를 해서 런던 올림픽 때 영국에 다녀왔다. 그곳에서 할아버지 한 분을 만나서 대화도 나누었다고 합니다. ...............
할머니 집에 가 보니 온 벽에 영어 단어와 영어 문장이 가득했다 . 이 할머니의 경우 나이가 困곤=어려움. 으로 작용하지 않았습니다. 困때문에 주저앉은 게 아니라 과감하게 넘어선 겁니다.
困에 굴복하는냐 안 하는냐는, 현재의 조건을 넘어서느냐 ,
넘어서지 못하느냐라는 갈림길에 자기를 놓아두는 겁니다.-55-
-영국의 '제임스 다이슨' 은 먼지 봉투 없는 진공청소기와 날개 없는 선풍기를 발명했습니다. 특히 전자를 개발하기 위해서 5126번의 실패를 거쳤다고 합니다. 그의 발명품은 기존의 제품에 들어있는 요소를 빼고서도 기능을 향상시키는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것이 없으면 안 된다" 라는 사고를 뛰어넘는 것입니다. -64-
-우리사회의 가장큰 문제가 부의 양극화 문제입니다. 부자는 한없이 부자고, 가난한 사람은 한없이 가난합니다. 옛날에는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팠는데,지금은 형제가 논을 사면 배가 아프고 아들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고 아버지가 논을 사면 배가 아픈 나라가 되어 버렸습니다-74-
-"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 라는 우리나라 속담은 참으로 기가 막힌 말입니다. 뭔가 낌새가 있어야 소문이 납니다. 아무리 비밀리에 뇌물을 주고 받아도 다 들키게 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80-
-면암 최익현 선생은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자 도끼를 들고 광화문 앞에 가서 "전하, 병자수호조약을 파기하지 않으려면 저를 죽이든가 저를 안 죽이려면 병자수호조약을 파기하십시오" 라고 상소를 올렸습니다. 대통령이 잘못된 명령을 내리면 장관이 단호하게 "각하,이것은 안 됩니다. 차라리 저를 해임시켜 주십시오"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83-
-아무리 대통령이 높고 힘이 세다 하더라도 국민을 등에 업고 투쟁하면 굽히지 않을 대통령이 없다는 것입니다. 백성 개개인의 힘은 아무것도 아니지만 이들이 뭉쳐서 싸우면 엄청나게 강하다는 걸 다산은 이미 200년 전에 알고 있었습니다. 다산,[목민심서]에서 ..... -85-
-부모는 매일 드라마나 보고 놀러 다니면서 자식들에게는 공부 안 한다고 잔소리를 하면 자식들은 부모 말을 안 듣습니다.
부모가 먼저 책 읽고 공부하는 모습을 보이면 자식들은 절로 따라갑니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는 속담이 있듯이, 먼저 솔선수범하라는 얘기입니다.[다산연구소 이사장 박석무] 강연에서........-87-
-퇴계의 묘지명의 내용이 감동적입니다.
生而大癡 壯而多疾 中何嗜學晩何叨爵 學求猶邈 爵辭愈孀 進行之跲 退藏之貞 深慙國恩 亶畏聖言 有山嶷嶷 有水源源 婆娑初服 脫略衆訕 我懷伊阻 我佩誰玩 我思古人 實獲我心 寧知來世 不獲今兮 寧知來世 不獲今兮 憂中有樂 樂中有憂 乘化歸盡 復何求兮
...........근심 가운데 즐거움이 있고 즐거움 가운데 근심 있네. 자연의 조화를 타고 다하여 돌아가니 더 이상 구할 것이 무엇이 있으랴.-101-
-[퇴계전서]에 나오는 말이다.
"깊은 산 무성한 숲 속에 한 떨기 난초가 꽃을 피워 종일 그윽한 향기를 풍기고 있지만, 난초 스스로는 향기를 내고 있는 줄 모를는 것과 같다. 바로 군자가 자아완성을 위해 공부하는 뜻과 꼭 들어맞는다. -103-
-율곡은 독서의 태도로 "허심평기 숙독정사" 를 권합니다.
즉 마음을 비우고 컨디션을 편안하게 유지하며 입에 붙듯이 읽고 정밀하게 사유하라고 말한다. 독서법의 핵심은 집중입니다. 세상이 무너지더라도 나는 이 책과 한번 승부를 내겠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143-
-물이 있어서 못 건너간다고 생각하지 말고, 헤엄칠 수 있으니 저 강을 건널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악조건이 있음을 기뻐해야 한다.-216
-중용의 저자는 자사子思입니다. 그는 공자의 ㅅ손자이다. -219-
-현재G2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은 향후 100년 뒤에는 미국을 앞지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미래학자들이나 사회학자들은 2049년 중국 공산당 정권 수립 100주년잉 되면 아마 모든 나라를 압도하는 울트라 강대국으로 우뚝 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겁니다. 중국과 함께 수천 년 동안 시간과 공간을 공유한 우리 입장에서는, 특히 국경을 맞대고 있으므로 중국의 존재감이 남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246-
-사마천의 사당으로 들어가는 패방에 '고산앙지' 라는 말이 쓰여 있는데 이는 "높은 산은 우러러본다" 는 의미로 [시경]에 나오구절입니다. 또한 이는 사마천이 공자에게 보내는 찬사입니다. -262-
-겨울의 추위가 심한 해일수록 다가오는 봄의 나뭇잎은 푸르른 법입니다. -268-
-김시습은 30대까지 경주 남산 부근에 살았는데, 그곳에서 그 유명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 [금오신화] 를 집필했습니다.
'금오'는 경주 남산 그 가운데서도 금오봉을 가르킨다고도 하고, 우리나라 전체를 가르킨다고도 합니다. '신화' 는 새로운 이야기란 뜻이니 [전동신화] 등 당시에 읽히던 전기소설과는 다른 소재와 발상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엮었다고 밝힌 것입니다. -353-
-연암이 살던 시대는 노론이 지배하던 시대였습니다.
연암은 노론 명문가 출신인 데다 어렸을 때부터 뛰어난 문장을 쓸 정도로 천재였지만 과거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포기합니다. 반면 재야의 남인 출신인 다산은 과거 공부를 열심히 해서 관료의 길을 걷게 됩니다. 여기서 두 사람은 극명하게 차이가 납니다.
....... 1800년에 정조가 죽으면서 모든 게 와해되고 풍비박산이 납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두 사람 모두 실학사상을 갖고 있었으니 서로 친했을 것같은데, 그들은 사대문 안에 살면서도 평생 한 번도 만나지 않았습니다. 아주 놀라운 일입니다. -374-
-우리는 사농공상을 계급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는데, 농공상은 계급이 아니라 일종의 정규직입니다. 반면선비는 독서인이면서 문장을 쓰는 존재입니다. 그러니까 선비가 무능하다는 말은 책을 안 읽을 때 하는 말이지, 직업이 없다고 무능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내가 선비임을 증명하려면 새벽부터 일어나서 책을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가 이 세상에 살았다는 걸 문장으로 증명해야 합니다. -378-
-[열하일기]는 전 세계 여행기 중에서 단연 독보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열하일기]에는 온갖 종류의 문체가 다 들어 있습니다. 어느 한 가지 방면으로는 뛰어난 글들이 많지만, 여러 문체들이 오케스트라처럼 어우러 지면서 공존하고 있는 텍스트는 [열하일기] 가 유일합니다. 그래서 제가 세계 최고의 여행기라고 거침없이 말할 수 있는 겁니다. -382-
-건륭제 앞의 황제는 옹정제이고, 그 앞의 황제는 강희제인데, 이 세 명의 황제는 중국 역사상 불세출의 황제입니다.
........ 이 세 명의 황제는 장수했을 뿐만아니라 말을 얼마나 잘 타는지 장군도 아닌 데 늘 말 위어ㅔ서 내리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이런 황제들이 연속으로 세명이나 나올 수 있는지 이것 또한 역사의 미스터리 입니다. 이 인물들 덕에 청나라가 20세기까지 유지될 수 있었던 겁니다.
............ 세계 제국의 중심인 청나라의 문명을 배워야 된다는 것이
'백탑파' 가 내세운 북학 이론입니다.
......... 연암은 중국 사람들이 말을 타고 한시간에 70리를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보곤 북벌이 얼마나 공허한지 깨닫게 됩니다. -384-
- 중국여행을 하게 되면 반드시 열하에 가보기를 바람니다.
열하는 중국 황제들이 천하를 돌다가 여름을 맞으면 행궁으로 삼았던 곳으로, 동북방의 요세인 고북구장성를 넘어가야 합니다. 그곳은 위구르,신장,티베트, 몽골 등 오랑캐 중의 오랑캐가 발호하던 곳입니다.
......... 1860년 영.불 연합군의 공격을 피해 함풍제와 서태후가 피신을 온 곳도 이곳입니다. 이곳에서 함풍제가 사망한 뒤 서태후는 권력의 옥새를 손에 넣고 자신의 시대를 엽니다 이처럼 열하는 중국 역사에서 매우 의미 있는 곳입니다. -385-
-398-끝. 잘 봤습니다.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476/ 직지를 찍는 아이, 아로 - 정명섭 지음 (0) | 2016.11.29 |
---|---|
475/ 한옥에살다 - 이상현 지음 (0) | 2016.11.25 |
473/ 우리에게 유교란 무엇인가 - 배병삼 지음 (0) | 2016.11.25 |
472/ 삼국유사 - 일연 지음, 김원중 옮김. (0) | 2016.11.25 |
주역 [역전 계사 상] (0) | 2016.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