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469/ 사람을 말하다 - 이중텐 지음, 심규호 옮김

최해식 2016. 11. 23. 08:30


 


주역 [역전 계사 상]

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

역에는 태극이 있어 양의를 낳았다. 양의는사상을 낳고 사상은 팔괘를 낳았다. -41-

참고 ; 육효학 https://www.youtube.com/watch?v=7cTG7Bnj6t4




 -태양  ; 양효 위+양효(-)

   소음  ;양효 위 +음효( -- )    

   소양 ; 음효 위+양효(-)

   태음 ; 음효 위+음효( -- )

        



- 남송때 유학자 주희의 八卦取象歌 .

乾 ☰ 건삼련;= + - 태양에 양효를 더한 것. 하늘 天을 대표.

兌 ☱   태상결;= + --태양에 음효를 더한 것. 연못 潭을 대표.

離 ☲   이중허 ; -- + - 소음에 양효를 더한 것. 불 火를 대표.

震 ☳   진앙우 ;  -- + --소음에 음효를 더한 것. 우뢰 雷를 대표.

巽 ☴   손하단 ;  --? + - 소양에 양효를 더한 것. 바람.風을 대표.

坎 ☵   감중만 ;  --? + --소양에 음효를 더한 것. 물水을 대표.

艮 ☶   간복완 ; == + -   태음에 양효를 더한 것. 산山을 대표.

坤 ☷  곤육단 ;  == + --태음에 음효를 더한 것. 땅 地 를 대표.-40-


-☰건삼련 ;3개의 효가 서로 연결됨.

☱태상결 ; 위에  음효가 있어 위가 끊어져 결핍된 것 같다.

☲이중허; 가운데가 음효로 빈 것처럼 보인다.

☳진앙우; 위에 있는 2개의 음효는 끊어짐.아래 양효는 이어짐.(주둥이가 위에 달린 바리때처럼 생김)

☴손하단; 아래가 음효로 끊어진 것처럼 보임.

☵감중만; 위 아래가 빈 대신,가운데가 꽉 찬 것처럼 보임.

☵간복완; 뒤집어 놓은 바리때. 처럼 생김.

☷곤육단; 3개의 음효로 이루어져 모두 끊어진 것.  -41-


-1년중 가장 추운 시기는 ?  三九삼구.이다.

가장 더운 시기는? 三伏이다.

三伏삼복 중에 말복은 입추가 지난 첫 번째 경일이 시작되는  날이다.

三九삼구는 동지가 지난 제19일부터 제27일까지 이다  三伏삼복은 이미 더위가 최고조에 이를 때이고 三九삼구는 추위가 절정에 이를 때이다. 따라서 三九삼구가 되면 이미 양기가 상승하기 시작하고, 三伏삼복이 되면 음기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역은 다하면 변하고,변하면통하며 통하면 오래간다.

易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 역, 궁즉변,변즉통,통즉구."  [주역] 계사 하 편.

.......... 크게 불운한 일이 생겼다고 해서 주눅이 들거나 낙담할 필요 없다. 자신에게 닥친 곤경을 이를 악물고  견디면 "버드나무 그늘이 우거지고 온갖 꽃이 만발하는  희망의 날이 오기 마련이다.  또 순풍에 돛단배처럼 모든 일이 뜻대로 된다고 해서 "춘풍에 득의 해 자만해서는 안된다. 언젠가는 불운한 일이 닥치기 때문이다.

모든 일이 극에 달하면 변하기 때문이다. -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