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85

1035/ 공부귀신들 - 구맹회 지음

- 머릿속의 눈으로 공부하면 그냥 공부하는 것과 어떤 점이 다를까?.....머릿속의 눈은 얼굴의 눈과 다르다.  얼굴의 눈은 눈앞에 보이는 대상을 보기만 하지만,  머릿속의 눈은 얼굴의 눈으로 본 세상을 이미지로  만들어 머릿속에 저장한다. ............공부한 내용을 머릿속에 저장하고 떠올려보면 기억나지 않는 게 없어진다.  만약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그건 공부가 덜 되었다는 뜻이다.  이때는 공부한 내용을 모두 복습할 필요는 없다.  기억이 나지 않는 부분만 골라서 머릿속의 눈으로 살펴보면 된다. -77- - 머리속의 눈  트레이닝:1.(자세한)  관찰.2.(눈을 감고)  관찰한 것을  머릿속에 떠올리자.   (잘 생각나지 않으면, 한 번 더 관찰하자)3. (관찰내용)  설명하자.4. (다른..

한국 2025.01.25

1034/ 바라는 대로 이루어진다 - 디팩 초프라 지음, 김석환 옮김

-츨전 최해직 책소개(2편) https://youtu.be/NcOIFHdBuuI?si=5hSyduH---b1cDFF-(1편) https://youtu.be/C34nB4qfL3w?si=06B7at_IhUx5FpuF-책을 읽고 있는 당신의 눈은 종이 위에 새겨진 검은 인쇄물을 보고 있고, 당신의 마음은 그 인쇄물을 상징, 즉 글자와 단어로 변환해 의미를 추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읽는 행위는 누가 하나요? 무엇이 당신 생각의 기초가 되는 의식인가요? 당신의 마음은 해독하고, 분석하고 번역하느라 바쁩니다.그렇다면 누가 이 책을 읽고 있는 것인가요?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당신은 당신 안에 어떤 존재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영혼 또는 초공간적 지성이며,이 경험은 ..

한국 2025.01.13

1033/ 吾友我 - 박수밀 지음

-이덕무는 '나는 나를 벗 삼는다'는 말을 자신의 호로 삼아 '오우아거사吾友我居士'라고 스스로 일컬었다. -17- - 주역[건괘]에는 '항룡유회'라는 말이 있다.항룡은 하늘 끝까지 다다른 용이다.  명예와 권력이 하늘을 찌를 듯이 가장 높이 올라간 단계를 말한다..................... 달은 둥글고 나면 다시 기울기 시작하고 항아리는 물이 가득 차면 더 이상 물을 담지 못하고 흘러넘친다.      주위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고 결국 혼자만 남는다. 끝까지 올라간 용은 반드시 후회한다.  적당한 선에서 그칠 줄 알아야지, 끝까지 올라가려다간 스스로를 망친다.  지위가  높을수록 겸손이 필요하다. -152- -하늘은 스스로 한가하지 못하여 항상 운행하는데,  사람이 어찌 한가할 수 있겠는가?   ..

한국 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