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일이 일어날 때 그것을 받아들이고 감사하라.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해도, 그것 역시 받아들이고 감사하라. 잠시 쉬어가는 기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루 종일 열심히 일했고, 밤이 되면 잠에 빠져든다. 일을 하지 못하고 돈을 벌지 못하고, 할 일이 태산 같지만 한꺼번에 많은 일을 하지 못한다고 해서 불행하다고 느끼지 말라.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 -37-
- 시간이 날 때마다 몇 분 만이라도 아무것도 하지 말고 호흡을 가다듬으며 이완해보라. .......... 전철에 앉아 있을 때, 아무도 그대가 무얼 하는지 몰를 것이다. 그저 호흡을 가다듬으며 이완하라. 자연스럽게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내버려 두어라. (=숨을 들이 마시면서, "나는 들숨을 쉬고 있다" 라고 알아 차린다). 그 다음 눈을 감고 숨이 들고 나고, 다시 숨이 들고 나는 것을 주시하라.
......명상은 집중이 아니다. 명상은 자각이다. 이완하면서 호흡을 주시,자각하면 된다. -106-
- 호흡법 ;
어린아이처럼 가슴은 전혀 움직이지 않으며, 배가 오르락내리락한다. 아이는 배로 숨을 쉬는 것처럼 호흡한다 -110-
-자연스러운 호흡법 ;
숨을 들이마실 때 아랫배가 올라오게 하고, 숨을 내쉴 때 배를 가라앉혀라. 그것에 리듬을 엮어서 에너지가 노래하듯 만들고 호흡이 리듬과 조화로움으로 춤을 추면 ㄱ그대는 이완하게 된다. 그러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생기와 활력으로 충만해질 것이다. -112-
- 주의력은 방해하는 생각이 전혀 없이 고요하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뜻한다.
전철을 타고 이동한다고 하자. 그대는 그 안에서 무엇을 하는가?
시간을 낭비하지말고, 주의력을 발달시키는 노력을 하자. 아무런 생각을 하지 말라. 그저 다른 사람이나 다른 전철을 바라보되 아무런 생각을 하지 말라. 생각하는 것을 멈추어라.그저 바라보라 그대의 바라봄은 직접적이고 통찰하는 게 될 것이다. -114-
- 두려움/ 긴장을 느낄 때;
깊게 호흡을 내쉬면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라.
스트레스가 그 공기와 함께 내던져진다는 느낌을 가져라.
그다음 깊게 숨을 들이마셔라.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시면서 가슴이 확장되는 것을 느껴봐라.
7번이면 충분하다.
중요한 것은 숨을 내쉬면서 자신의 스트레스도 함깨 내던져 버린다고 느끼는 것이다. -120-
- 태양과 함께 떠오르라.
아침 해가 떠오르기 15분 전에 하늘이 약간 밝아지려고 할 때 마치 사랑하는 연인을 기다리듯이 잠시 기다려보라. 주의를 기울이고 진득하게 기다리며 희망과 흥분을 품되 고요함을 유지하라.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을 그저 계속 바라보라. 응시할 필요는 없다. 일출과 동시에 내면에서 무언가가 함께 떠오른다고 느껴보라. -123-
** 내블로그 ; http://blog.daum.net/chscoral/1943
-하루에 적어도 여섯 번 아주 간단한 명상을 시작해보라. 한 번에 겨우 30초밖에 안 걸리므로, 하루에 3분이면 된다. 이것은 세상에서 가장 짧은 명상이다. 하지만 그것을 느닷없이 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130-
- 생기/ 활력 찾는법
1.거울에 비친 모습이 그대를 바라보고 있다. 라고 느껴라.
엄청난 에너지가 그대를 향해 움직여오는 것을 느껴진다.
그대는 너무나 큰 생기/활력을 느낄 것이다.
2.장미꽃을 바라보라.
장미꽃을 바라볼 때, 처음에는 장미꽃을 몇 분 동안 바라보고, 그 다음에는 반대의 과정을 시도해보라. 이제 장미꽃이 그대를 바라보고 있다고 느껴보라. 장미꽃이 그대에게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알고 놀랄 것이다 .
3.나무, 별, 살람들에 대해서도 똑같은 실험을 해보자. -144-
-
-.........-194-끝. 그냥 봄.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741/최강의 명상법-와타나베 아이코 지음, 황혜숙옮김 (0) | 2018.10.14 |
---|---|
740/액티브 명상-오쇼 강의, 서미영옮김 (0) | 2018.10.14 |
668/ 이렇게 책으로 살고 있습니다- 이나이즈미 랜 지음,최미혜옮김 (0) | 2018.03.11 |
650/ 말이 무기다- 우메다 사토시 지음, 유나현 옮김 (0) | 2018.02.10 |
632/ 도련님- 나스메 소세키 지음.오유리 옮김 (0) | 2018.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