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51.순자 교양 강의 / 우치야마 도시히코 지음 . 석하고전연구회 옮김

최해식 2014. 8. 30. 06:17

-[순자] 편명 :  유향의 [서록]에 나오는 순서 에 의거 함.

총20권, 32편 으로 구성 됨. 

 1편 권학 (학문의 권장) ,  2편 수신, 

8편 유효,  9편 왕제,  10편 부국,  11편 왕패,  16편 강국  .-336-

 

 

-시간의 강물은 미래에서 흘러와서 현재를 거쳐 과거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과거로부터 흘러와 현재를 거쳐 미래로 나아가는 것 이라 해야 합니다.   현재를 'A' 라고  한다면 미래는 '非A' 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모순과 갈등을 지양한  '새로운 현재' 가 곧 미래입니다.     미래는 오늘과 질적으로 판이한 B,C,D  일 수는 없습니다.  미래는 오래 된 미래입니다.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와 소통하기 위해서도 고전 공부는 반드시 필요합니다.-5-

 

-고전 공부는 고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에서 ' 배우는 것 이 중요합니다. 역사는 다시 쓰는 현대사입니다.  수많은 事實은 재구성됨으로써 史實이 됩니다.  오늘날 고전의 반열에  올라 있는 숱한 고전들 역시 각 시대가 선택하고 구성한  것입니다. -6-

 

-주나라 전반기에 왕도가 호경鎬京에 있던 시대까지를 서주西周(BC1046?~ 771) 라 부르고 그 후 도읍이 낙양으로 옮겨지고 난 이후(BC770~      ) 를 동주 라고 부르는데 , 그중 동주 시기가 춘추 . 전국시대에 해당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19-

 

-전국 말의 사공자四公子로 ㅜ 불리는 제나라의 맹상군 전문,  조나라의 평원군 조승,  위나라의 신릉군 위무기,  초나라의 춘신군 황헐,  또 앞서 기술한 진나라 재상 여불위는 특히나 '객'을 우대했던 인물로 유명합니다.  -28-

 

-마침내 진왕 정(시황제) 대에 진나라는 '육국' 으로 불리던 한(기원전 230),  위(기원전 225),  초(기원전223) ,  조(기원전222) ,  연(기원전222) ,  제(기원전221) ,  를 차례로 멸망시켜 통일을 완성하였고,  진왕 정은  '황제'를 칭하며 천하에  '군현' 제를 펼쳤습니다. -38-

 

-[사기]  <이사열전> 에 따르면  이사는 초나라 사람이고 순자에게 배웠는데,  초나라 왕은 섬길 만한 인물이 못 된다고  판단하고는 순자 문하를 벗어나 진나라로 향하지요.  그가 스승 순자에게 작별 인사를 고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 때를 얻으면 꾸물거리지 말라 ' 고 들었습니다. ........  지금 진나라 왕은 천하를  집어삼키고  '제帝 ' 를 칭하며 천하를 다스리려고  합니다.  그야말로 직위나 관직 없는 선비가 능력을 펼칠 대이며 유세가의 시대가 온 것입니다.  비천한 자리에 있으면서 아무 계획도 세우지 않는 자는 먹이를 보고 먹기만 하는 짐승과 같고,  사람 모습을 하고 그저 걸어다닐 뿐인 것입니다. 가장 큰 부끄러움은 낮은 자리에 있는 것이고 가장 큰 슬픔은 경제적 궁핍입니다.  오랜 세월을 낮은 자리와 곤궁한 처지에 있으면서도 세상의 부귀를 비난하고 영리를 미워하며 스스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데 의탁하는 것은 공부한 사람의 마음이 아닐 듯합니다.  그래서 저는 서쪽 진나라 왕에게 유세를 하려 합니다.

 

야심을 가슴에 품고 진나라로 입국한 이사는 때마침 진나라 장양왕이 세상을 떠난 때라 여불위의 사인舍人(측근 ) 이 되었고 마침내 진왕 정의 객경에서 정위(형옥을 관장하는 신하) , 나아가 천하통일을 달성한 진나라의 승상 자리에까지 오릅니다.-66-

 

-<순자> 32편中 첫머리는 [권학] 편이다.

군자는 '학문은 하지 않을 수 없다 '  고 말한다.  푸른 물감은 쪽풀에서 얻지만 쪽풀보다 더 파랗고,  얼음은 물로 만들어지지만 물보다 더 차갑다. 

푸른색은 쪽풀(람초藍草)에서 가져오지만 원래의 쪽풀보다 더 푸르다.  그렇듯 사람도 ...............  운운하는 것이 이미 비유입니다. 

 

또 [치사]편사는 이런 비유가 나옵니다.

냇물과 연못은 용과 물고기가 사는 곳이다.  산과 숲은 새와 짐승이 사는 곳이다.  국가는 사士와 민民이 사는 곳이다.  냇물과 연못이 마르면 용과 물고기가 떠나고,  산과 숲이 험하면 새와 짐승이 떠나간다.  국가가 정치를 잘못하면 사와 민이 떠나간다. 

사와 민중이 나라에서 편안하게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치가 안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의 이해하기 쉬운 비유입니다.

 

[권학] 편에 나오는 다음 문장은 사람의 뛰어난 행위는 반드시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는 것을 주장한 말이다.

옛날에 음악의 명인 인 '호파' 가 슬( 거문고 비슷한 악기) 을 타면 물속에 잠겨 있던 물고기도 나와서 들었고 또다른 음악의 명인 인 ' 백아 ' 가  금琴을 타면 ( 천자의 수레를 끄는 ) 여섯 필 말이 풀을 뜯어 먹다가도 고개를 쳐들었다.  그러므로  소리는 아무리 작아도 들리지 않근 것이 없고,  행동은 아무리 감춰도 드러나지 않는 것이 없다.  옥이 산에 있으면 풀과 나무가 윤택해지고,  못에서 진주가 나면 가의 언덕이 마르지 않는다.  선을 행하고 사악함을 쌓지 않는다면 어찌 그 명성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겠느가?

이 문장은 각각 대우를 이루는 표현법이다.

 

[수신]편에 나오는 문장을 보자

선으로 사람을 인도해 주는 것을 敎라 하고 선으로 남들과 화합하는 것을 順(따름)이라 한다.  선하지 않은 것으로 사람을 인도하는 것을 첨諂(기만, 현혹, 모함) 이라 하고,  선하지 않은 것으로 사람들과 화합하는 것을  유諛(아첨) 라 한다.  옳은 것을 옳다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 하는 것을 知라 하며,  옳은 것을 그르다 하고 그른 것을 옳다 하는것을 愚(어리석음) 라 한다.

[순자]의 문장은 중국 고대 문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자'들의 작품 중에서 일종의 정점을 보여 줍니다.-74~ 76-

 

-

 

-[사기] <화식열전>은 춘추시대(BC770~ 476) 말기에서 전한 (BC206)  초까지의 부호들을 다룬 전기입니다.  ....  이 글을 통해 고대 중국의 경제 실정을 짐작할 수가 있습니다.  

 사마천은 중국을 하나의 거대한 경제권으로 파악하면서 '산서' (황하 유역 함곡관 서쪽 지역 - 섬서성 지방 ) ,  '산동 '( 함곡관 동쪽 지역     ) , ' 강남 ' (양자강 유역 이남 지역  ),  ' 용문 . 갈석 북쪽 ( 북방 변경 지대  )  이렇게 네 지역으로 크게 구분합니다. -163-

 

-순자의 [부국] 편에서  " 군주는 덕으로 정치하고 소인은 힘으로 일한다.  힘은 덕에 봉사하는 것 "  이라고  하여 군주 와 소인 의 분分이 따로 있다고  여겼다....  [왕패] 편에서  " 군주의 임무는 사람을 관직에 임명하는 것이고 ,  서민의 임무는 자신의 능력으로 일하는 것 "이라고 하여 만일 군주가 모든 것을 자신의 손으로 해야 한다면  군주는 ' 역부役夫 ' 와  다를 바가 없게된다 고  하였다. 

[맹자]는  천하에는  대인(군자)의 일도 있고 소인의 일도 있으며 " 어떤 이는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어떤 이는 힘을 수고롭게 하며,  마음을 수고롭게 하는 자는 남을 다스리고,  힘을 수고롭게 하는 자는 남에게 다스려 진다. "  고 논했습니다.( [맹자] <등문공> )-175-

 

-종횡 분업의 입체적인 조합이 이상적으로  운영되면 생산이 추진되고 물자는 풍부해져 국가가 안정된다 는 것이 순자의 견해입니다.

 

아래(인민) 가 가난하면 곧 위(지배자)도 가난해진다.  아래가 부유하면 곧 위도 부유해진다.  [부국 ]

망해 가는 나라는 임금의 금고를 부유하게 하고 군주의 창고를 가득 채운다  군주의 금고가 부유해지고 임금의 창고가 가득 차도 백성들은 가난하기만 하다.  이런 것을 두고 위는 넘쳐 나고 아래는 바닥이 았다고 하는데,  안으로는 나라를 ㅈ킬 수가 없고  밖으로는  전쟁을 할 수가 없을  것이니,  나라가 무너져 멸망하는 것을 눈앞에 서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왕제]-179-

 

-BC210년 시황제가 행행지行幸地 사구대(하북성)에서 죽고 난 뒤 진 제국은 급속도 로  와해되었고,  항우와 유방의 쟁패에 이어 마침내 기원전 202년  한나라의 고조 유방이 제위에 오릅니다.-307-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6.사기/ 무라야마 마코토 外 엮음  (0) 2014.09.06
155.난세에 답하다 / 김영수 지음  (0) 2014.09.04
전국칠웅  (0) 2014.08.25
전국시대  (0) 2014.08.25
춘추시대  (0) 201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