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전; 네이버 백과사전
-[퍼온글]
[http://m.cafe.daum.net/silverforum/CvD7/112?svc=top3&q=%EC%86%90%EB%B9%88//m.cafe.daum.net/silverforum/CvD7/112?q=ìë¹&svc=top3연(龐涓)
[춘추전국시대 -손빈과 방연] 전국시대 후반기에 전설적 은둔거사로 귀곡선생(鬼谷先生)이라는 분이 있었다.
그는 본시 초나라 태생으로서 성은 王이고 이름은 허(栩)이나, 주나라의 낙양 부근에 있는 귀곡(鬼谷)이라는 곳에 은거함으로서 귀곡선생 혹은 귀곡자라 불리는 대학자였고 예언가로도 유명하여 청운의 꿈을 품은 많은 젊은이들이 구름같이 모여들었다.
이 곳에 두 수 제자가 있었는데 결의형제를 맺고 병학(兵學)을 공부하는 손빈과 방연이었다.
손빈(孫殯)은 손자병법으로 유명한 제나라 사람 손무(孫子)의 손자(3대손 혹은 5대손)로서 어려서 부모를 잃고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무작정 귀곡선생의 문하로 뛰어든 사람이고, 방연(龐涓)은 위나라 사람으로서 역시 귀곡선생 문하에서 수학하는 수재였다.
이 두 사람은 다른 이에 비해 월등한 진전을 보였고, 드디어 BC360年경 방연이 출사를 위해 하산 한다.
방연이 귀곡동을 떠난 뒤, 귀곡자는 손빈의 조부인 손자(孫武)가 쓴 병법 13편 (흔히 말하는 손자병법)을 손빈에게 내주고 암독하고록 지시 하였다.
전국시대 접어들어 하나의 전설이 되었으며 아무도 읽어본 사람이 없을 정도의 이 책을 어떻게 해서 귀곡선생이 소지 하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하여튼 손빈은 선생의 지시대로 몇날몇칠 주야로 탐독하여 이 병서를 다 외우게 되었다.
한편 이미 출사한 방연은 위(魏)혜왕에 발탁되어 작은 병력으로 막강한 제나라의 공격을 격퇴 하는 등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위나라의 대장군이 되었다.
이 때 위나라 재상 왕책이 방연과 동문수학하고 孫武의 손자인 손빈에 대한 소식을 듣고, 그를 위나라로 초빙한다
-BC 403년부터 秦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다.
전국시대 유래 :
漢나라 유향 이 정리한 [전국책]에서 유래되었다.
-61- 난세에 답하다/ 김영수 지음.
-전국칠웅 :
동쪽의 제나라, 남쪽의 초나라, 서쪽의 秦나라, 북쪽의 연나라 그리고 중원의 한 .위 . 조 나라 등 일곱 나라가 자웅을 겨루게 되는데 흔히 ' 전국칠웅 ' 이라고 부른다. -62- 난세에 답하다/ 김영수 지음.
-오월춘추시대
춘추 시대에서 전국 시대로 넘어가느 과도기 이다.
춘추 시대에는 명분과 실리를 모두 중요시 했다면 전국 시대에는 오직 실리만을 쫓는 약육강식의 정글이다.
유명인물로는 초나라 출신의 오자서이다.
그와 관련된 고사성어:
-일모도원日暮途遠 : 날은 저물었는데 갈 길은 바쁘다
-굴묘편시 : 무덤을 파헤쳐 시체에 채찍질을 가한다. 초나라 평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꺼낸 뒤 300번이나 채찍질을 가했다. 오자서의 복수를 대변하는 고사성어다. -62- 난세에 답하다/ 김영수 지음.
-부차와 구천 관련 고사성어:
와신상담 : BC 496년 오나라 왕 합려는 구천에게 패했다. 합려는 아들 부차를 불러 아비의 원수를 갚아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부차는 가시가 많은 섶에 누워 자며 아버지의 복수를 다짐했다. 부차가 와신하고 있다는 첩보를 받은 구천은 오나라르 먼저 쳐들어갔으나 오히려 대패하고 말았다. 결국 항복하고 만다.
그 후 구천은 곰 쓸개를 핥으면서 20년에 걸친 철저한 재기의 몸부림으로 승화되어 또 역전 드라마를 연출한다.
구천은 오나라를 항복시켰고 부차는 오자서에게 면목이 없다며 자신의 얼굴을 천으로 덮게 한 다음 자살한다. 그와 함께 오나라도 멸망했다. -65-난세에 답하다/ 김영수 지음.
-범려 관련 고사성어 :
토사구팽 兎死狗烹. : 사냥할 때 토끼를 잡고 나면 토끼를 쫓던 사냥개는 삶아 먹는다.
이 말은 월나라 재상이었던 범려가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맹주가 된 구천과 더 이상 함께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가족을 데리고 월나라를 떠나면서 친구 인 문종文種에게 남긴 말이다.
'' 어려울 때 생사를 걸고 같이할 수 있는 사람과 잘될 때 같이할 수 있는 사람을 구별을 해야 된다'' 는 범려의 말도 새겨볼 만하다.
문종은 떠나야 할 때를 놓치는 바람에 월나라 왕 구천에게 토사구팽 당했다. 유방의 건국 공신 가운데 장량이 범려라면 한신은 문종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67-난세에 답하다/ 김영수 지음.
-....................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1.순자 교양 강의 / 우치야마 도시히코 지음 . 석하고전연구회 옮김 (0) | 2014.08.30 |
---|---|
전국칠웅 (0) | 2014.08.25 |
춘추시대 (0) | 2014.08.25 |
삼국지/추가 (0) | 2014.08.25 |
사기열전 ; 69편 화식貨殖열전 (0) | 201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