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전 ; 양치질 소흘? 틀니 낀채로 수면? 폐렴위험 커져요.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782405
중증 폐렴 입원 환자의 65%는 60세 이상이다. 폐렴으로 사망하는 환자의 90%는 65세 이상이다. 폐렴은 말 그대로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발열이나 기침, 가래 등 감기로 오인하기 쉬운 증상이 나타나고 전신 무력감, 호흡 곤란, 가슴 통증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폐렴은 세균·바이러스 감염이나 약제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구강 위생이 불량한 상태에서 음식물이나 타액, 치태가 혼합된 구강 내 이물질이 기도와 폐로 들어가면 구강 내 존재하는 세균과 이물질로 인해 흡인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건강한 성인은 이물질이 기도나 폐로 들어가면 기침을 하거나 섬모 작용, 즉각적 면역 반응 등으로 기도를 보호해 쉽게 폐렴으로 이어지지 않지만 면역 기능이 약해진 고령층은 이물질에 즉각 면역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흡인성 폐렴으로 이어지기 쉽다. 류재준 고려대 안암병원 치과 교수는 "고령뿐만 아니라 연하 장애를 동반하는 질환인 인지 장애, 뇌졸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그 위험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노인요양시설에서 구강 위생 관리와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며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려면 구강 내 수분을 유지하고 혀와 입천장을 포함한 전반적인 구강 세정이 필수"라고 말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구강 위생 관리를 받지 않은 그룹이 관리를 받은 그룹에 비해 폐렴 발생률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령자가 수면 중 의치를 장착하면 폐렴 위험성이 2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류 교수는 "식후 하루 세 번 칫솔질을 하고 혀를 잘 닦아야 한다"며 "특히 의치를 사용하면 하루 한 번 깨끗이 닦고 수면 중에는 반드시 발포성 의치세정제를 넣은 물에 담가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인의 적절한 구강 위생 관리는 흡인성 폐렴 발병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수명 연장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구강 위생 관리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아침에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운이 좋다2. (0) | 2019.04.23 |
---|---|
새해를 맞이하는 마음으로.......18.12.27쓰다. (0) | 2018.12.27 |
진취적 한국인 요시(좋다)~묻지마 러시는 No! " 라는 기사를 보며...... (0) | 2018.07.09 |
아침 출근길에 싸락눈이 내렸네요 (0) | 2018.02.09 |
67년전 오늘은 눈이 많이 왔다고 (0) | 2018.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