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 / (자기통제의 승부사 ) 사마의 - 자오위핑 趙玉平지음, 박찬철 옮김
- 선황제의 휘는 '의'이고 자는 '중달' 이다.-328-
--------------------------------------------------------
** 진 고조 선황제 사마의(晉 高祖 宣皇帝 司馬懿, 179년 ~ 251년 ) ;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략가이며, 훗날 그의 손자 사마염이 세운 진나라의 기초를 세운 인물이다. 자는 중달(仲達)이며, 묘호는 고조(高祖), 시호는 선황제(宣皇帝)이다.
조진 사후, 위나라의 군대를 이끌어 그의 최대의 라이벌인 제갈량과의 치열한 지략싸움 끝에 결국 제갈량의 북벌을 막아냈다. 위 명제 조예가 죽은 후 대장군 조상과의 권력투쟁에서 승리하고 승상이 되어 정치의 실권을 그의 손아귀에 넣었다. 위나라 조정 내의 사마(司馬) 가문의 영향력이 지대해졌고 이것이 이후 진나라 건국의 기초가 되었다. 이후 그는 상국이 되었고 안평군공(安平郡公)에 봉해졌다. 사후 그의 손자인 사마염이 진나라를 건국했을 때 선제(宣帝)로 추증되었다 (출전;위키백과)
- 사마의(179~251)
子는 중달.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
西晉왕조의 기반을 닦은 사람이다.
위나라 3대, 조조 조비 조예, 그후 조방 을 보좌한 고명대신으로 위나라의 전권을 장악한 권신이다.-18-
- 사마위는 그렇지 않습니다.
실패를 하든 성공을 하든 늘 "나는 공명만 못하다" 라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닙니다. 그래서 사마의를 간단히 봐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자신을 이해하고 잇으니 이는 분별력이 잇는 것이고, 자신을 받아들이고 잇으니 이는 정신이 맑은 것이고, 자신을 인정하고 잇으니 이는 용기 잇는 것입니다.
노자의 [도덕경] 에 이런 상태를 묘사한 구절이 있습니다.
"남을 아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고. 자신을 아는 사람은 총명한 사람이다.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잇는 사람이고, 자신을 이겨내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다. 知人者智,自知者明, 勝人者有力, 自勝者强 " -31-
- "칼에서 가장 쉽게 틈이 생기는 곳이 칼날이고, 창에서 가장 숩게 마모되는 곳이 창끝이다. 능력이 뛰어난 인물일수록 조직에서 가장 쉽게 상처받을 수 있다."
그래서 조직의 리더는 칼날을 보호하고 창끝을 보호하듯이 우수한 인재를 보호할 줄 알아야 합니다.
사실을 말하자면 우수한 인재는 약자이고, 그들은 ㅌ 커다란 압박에 직면하고 있씁니다. 가장 먼저 인간관계의 압박이 잇고 곧이어 학습의 압박, 성과 목표의 압박, 등 수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잇습니다.
많은 조직에서 우수한 인재를 보호하려는 노력이 부족한데.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조직행동학의 이론에 따르면 업무에는 두종류의 행위가 잇는데 이는 임무행위와 관계행위 입니다. 업적,업무량을 완수하고 보고하는것은 '임무행위' 이고 , 상하좌우의 관계르 잘 처리하여 상사를 만족하게 하고 동료나 아랫사람의 인정을 받는 것이 바로 '관계행위' 입니다.
성공하기를 원한다면 반드시 이 임부행위와 관계행위를 잘 수행해야 합니다. 어느 한쪽이라도 소흘히 해서는 안됩니다.
이 때문에 자신이 핵심 직원이라고 생각한다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주위와의 관계를 잘 처리할 것을 특별히 주문합니다. -52-
- 무대에 서서 연설을 해야 한다면,
마음속으로 "반드시 잘 할 것이다." 라고 끊임없이 말해야 합니다. 끊임없는 자기 암시를 통해 자신감이 상승하면 강연을 더욱 잘 할 수 잇을 것입니다. -124-
- 기분이 좋지 않을 때 거울을 보며 웃으십시오. 바로 즐거워질 것입니다. 즐겁지 않아도 즐거운 척 가장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정말로 즐거워질 수 잇습ㄴ다. 총명한 척 가장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정말 총명해질 수 잇습니다.
역사에서 영웅들은 모두 심리적 에너지가 강대하고 신념이 뛰어난 사람들이어서 일단 낙관과 자신감이 생기면 형세는 정말 자신이 노력한 방향을 향해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이것을 "성공은 마음에서부터 시작된다" 라고 하느 것입니다. 진정으로 성공한 사람은 마음에서부터 충만한 심리적 에너지를 가지고 잇고, 자신의 성공을 믿으며, 설령 고난이 겹치더라도 자신감을 잃지 않는 사람입니다. 성공은 일조의 내면에서우러나온 신념입니다. -128-
- 인생에 한 번은 좌절 교육을 통해 시련에 단련이 되어야 합니다. 좌절 교육은 그냥 시련을 겪는 것이 아니라 시련을 겪은 이후 이 시련을 어떻게 대하고 어떻게 해석한 며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를 배우는 것입니다. 이는 아주 중요한 배움입니다.
"성공한 사람은 좌절과 실패를 전진의 동력, 인생의 영양소로 전화할 줄 아는 사람이다." -137-
- 아무도 제갈량과 싸워 이길 수 없으니 사마의의 재능이 반드시 필요했다. 그런데 234년 마침내 오장원의 가을바람에 제갈량는 세상을 떠나자, "새가 날면 좋은 활을 숨기고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아먹는다.飛鳥盡, 良弓藏, 狡兎死, 走狗烹 " 라고 하는 일이 생길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갈량의 죽음 이후 사마의는 새로운 시험에 직면하게 됩니다. -139-
-
- 사람의 일생은 그리 녹록치 않습니다.
우리의 인생은 강물과 같이 수백 수천 번 굽이굽이 돌아가다가 바다로 흘러갑니다 -132-
-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병은 입으로 들어오고 화는 입에서 나온다. 입을 관리하지 못하는 사람은 큰일을 할 수 없다.
옛 사람들은 큰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愼言修口'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즉 말을 할 때는 신중해야 하고 절대로 아무 말이나 막 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화는 입에서 나오는 것이니 이후 절대로 혀를 함부로 놀리지 말라 고
수나라시대의 장군 하약필의 아버지 '하약돈' 이 그의 아들에게 신신당부하며 말했다. 이것은 중국 역사에서 말과 행동을 신중하게 하라는 유명한 고사 중 하나입니다. -149~150-
-우리는 자기표현의시대에 살고 잇습니다. 인터넷은 우릴에게 무한한 표현의 무대를 제공하고 잇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블로글를 열어 정보를 전파하고 말하고 싶은 것을 말힙니다. 하지만 이미 내뱉은 말은 엎질러진 물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재삼 생각하고 절대로 아무렇게나 말해서느 안 됩니다. 사람은 자신이 한 말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정말로 흥분하여 욕을 하고 싶을 때에는 먼저 마음을 가라앉히고 생각을 가다듬어야 합니다. 우리는 언론의 자유를 말하지만 언론이란 것이 필요한 이유는 발표하기 위함이지 발산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게다가 배설하기 위한 것은 더욱 아닙니다. 이것은 중요한 구별입니다.
오늘날과 같이 직장 내 경쟁이 격렬한시대에 '신언수구' 는 자신을 보호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지위가 높은 사람일수록 자신의 입을 잘 관리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꼬투리를 잡히게 된다. -151~152-
- 사마의를 ㅈ 돋보일 수 잇었던 것은 그가 성공할수록 목소리를 낮추고 빛을 발할수록 꼬리를 감추는 사람 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일을 할 때에는 기세등등하게 기치를 높이 올리며 매사에 엄격했고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에는 겸허하고 온화하게 몸을 낮추었습니다 큰 목소리로 일을 하고 낮은 목소리로 처신을 하는 것은 성공한 사람들이 일하는 기본 원칙입니다. 결코 뜻을 얻었다고 경거망동하지 마십시오. 자신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비치는 순간 자신이 누군지를 잊게 되면 이는 치명적일 수 잇습니다. -161-
- 중국 속담에 "물은 천 번을 굽이돌아 바다에 이르고, 사람은 만 리를 걸어 고향으로 돌아간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은 모두 고향에 대한 향수가 잇습니ㅏㄷ. 나이가 들수록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합니다. 성공했든 실패했든 혹은 뜻을 이루었든 못 이루었든 모두 고향에 돌아가고자 합니다. 고향은 마치 인생이라는 좌표의 원점과도 같아서 우릴가 어디를 가더라도 결국은 이 원점에서 자신이 인생를 측량한다고 말할 수 잇습니다. -176-
- 결정적인 순간 기회를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 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기회란 꽃이 피었다가도 지는 것처럼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을 할 때는,
첫째로 '쟁취' 하는 정신 이 필요하고 절대로 질질 끌어서는 안 됩니다.
둘째로 '돌진' 하는 정신이 필요하고 자신이 직접 처리해야 할 일에 요행을 바라며 게으름을 피워서는 안 돕니다.
관리학에는 '일몰법칙' 이라는 것이 잇습니다. 오늘의 일은 반드시 해가 지기 전에 완성해야 한다 는 뜻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중대한 기회를 잃을 수 잇고, 통제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잇다는 것입니다.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경우, 하려고 마음 먹었을 때 하지 못하면 이후에 기회는 사라집니다. 허다한 말이 있어도 제때 하지 못하면 이후 다시 말할 기회는 사라지게 됩니다. -210-
- 사마의는 기회란 하늘에서 떨어지는 떡과 같은 것이어서, 비록 그 떡이 언제 떨어질지 모른다고 하더라도 떨어질 만한 위치에 미리 서 잇는다면 기회를 잡을 확률이 매우 크다느 사실을 알고 잇었다. -212-
- 사람은 천 일 동안 한결같이 좋을 수 없고, 아무리 아름다운 꽃도 백 일 동안 붉게 피지 않는다. 人無千日好 花無百日紅 " 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아름다운 꽃도 백일이 지나면 시들기 마련이고, 잘나가는 사람이나 열렬한 관계도 시간이 지나면 식기 마련인 것입니다. 순조로운 상황에서는 물론이고 역경에서도 잘 적응해 내는 것이 처세입니다.
여름을 보내는 것처럼 겨울도 잘 보낼 수 있어야 합ㄴ다.
뜻을 이루어 득의만면할 때는 의기양양하지만 일단 좌절과 곤란을 만나면 낙담하여 기운을 잃고 일어나지 못합니다. 하지만 큰일을 하려면 역경이라느 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강철은 뜨거운 불 속에서 단련되어 나옵니다. 눈부시고 아름다운 꽃도 거름 속에서 피어납니다. 인간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역경의 시험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사마의는 오장원에서 제갈량을 막아내고 ,
요동의 공손연을 대파했으며,
조예가 후사를 부탁한 이후에는
조위 정권에서 가장 큰 권력을 가진 인물이 되엇습니다.
대권을 독점하고 이름을 ㅇ천하에 떨쳐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을 맞이한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중국 道家의 한마디, "꽃이 가장 붉은 때가 지기 시작하는 순간이고 달이 가장 둥근 때가 기울기 시작하는 순간이다. 花紅易哀, 月圓易缺 " 라는 말을 상기해야 합니다. 인생의 정점일 때가 바로 가장 쉽게 문제에 빠지는 때입니다. 사마의도 이 정점의 상태에서 커다란 위기와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232~233-
- 경제학에서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잇다면 ,
만두를 먹을때는 '만두의 법칙' 이라는 것이 있다.
사람의 심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바라는 것을 얻어 만족했을 때 뛸 듯이 기뻐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하지만 만족하느 횟수가 많아지면 그저 그렇게 되고 의기소침해지게 됩니다. 첫 번째로 먹은 만두는 마음을 즐겁게 하지만 세 번째로 먹는 만두는 답답하게 하고 여섯 번째 만두는 속을 메스껍게 하면서 아홉 번째에 이르면 만두만 봐도 화들짝 놀라 죽을 지경으로 만듭니다.
대장군 조상의 행위도 이런 법칙에 부합했습니다. 처음 권력이 일천할 때에는 대장군이 되어 사마의와함께 정치를 보좌하며 높은 지위에 오른 것이 흐뭇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훗날 매일같이 그저 평범하기만 한 날이 계속되자 불만족이 생기고 고민이 생기기 시작한 것입니다. 권력을 한 사람이 다 가진다면 얼마나 좋겟는가! -237-
- 중달의 잠언 ;
있을 때는 항상 없을 때를 생각하고 눈앞의 즐거움을 평가절하자지 말라
인생에서 매사를 처음 본 듯 대하면 행복으로 가득한 아름다눈 날들이 시작될 것이다. -238-
- 업무 성적이 출중하면 주위 사람들의 질시와 미움을 받게 되는데 이런 일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종종 발생하는 일입니다. 잘나가는 사람을 경계하고 질시하는 심리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있어왔던 사실을 깊이 생각해 보고 오늘을 반성도 해 볼 필요가 잇다. -242-
- 대장군 조상의 실패를 되돌아보면 관리학에서 말하는 한마디가 떠오릅니다. "권력이 재능보다 높으면 반드시 욕굄이 잇게 되고, 위엄이 덕성보다 높으면 반드시 화근이 뒤따른다." "머리가 크면 큰 모자를 써야 하고, 큰 솥이 잇으면 큰 솥뚜껑으로 덮어야 한다."
그래서 인생의 부귀의 길에 서 있는 사람은 지나친 탐심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인생은 고속도로르 달리는 것과 같습니다. 운전하는 사람이 엑셀을 이해하는 것이 역량이고, 브레이크를 아는 것이 지혜 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253~254-
- 사람의 일생 중 가장 큰 성공이 바로 자녀 교육의 성공이라고 할 수 잇는제, 같은 이치로 사람의 일생 중 가장 큰 실패가 자녀 교육의 실패입니다. 사마의란 사람은 아주 대단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녀의 교육을 특히 중시하여 두 아들이 자신과 같이 문무를 겸비할 수 잇도록 교육시켰습니다. -259-
- 사마의는 자녀 교육에도 성공했다.
아들 사마사, 사마소는 아버지의 비범한 소질과 능력을 잘 계승하였다. 삼국 최후의 승자가 사마의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단지 그가 권력 투쟁에서 승리를 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의 두 아들 형제는 사마의가 만든 권력의 기반을 잘 가꾸어 서진 왕조 창업의 기초를 닦았다. -260-
- 심리적 소양은 단순히 책을 읽으면 배양할 수 잇을까요?
아닙니다. 심리적 소양은 반드시 큰일을 통해 단련해야 합니다.
사마의는 일생동안 두 아들을 곁에 두고 산전수전을 겪게 만들었습니다. 이런 경험을 거친 후 두 아들은 큰 재목으로 성장할 수 잇었다.
온실에서 키운 묘목은 키워 봐야 심약한 풀이 되지만, 들판에서 비와
바람을 견디며 자란 묘목은 커다란 재목으로 큼 는 법입니다. 사마의 가 사용한 교육 방법은 실천 훈련법으로 도전적인 임무를 통해 실제적인 훈련을 진행했다. 이 방법은 우리 모두가 귀감으로 삼을 만하다. -267-
- 사마의 가정의 교육 기초는 엄격한 요구와 함께 사랑을 기울이는 것이 자녀의 성장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사마가의 교육 전통은 어려울수록 교육을 더 중시하고 또 천재나 인재 때문에 이 원칙을 바꾸지 않는 것입니다.
"국난은 正道를 전해주고 집안의 가난함은 자녀들을 공부하게 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설령 천하의 대란이 일어났어도 교편을 놓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교육은 작게는 집안의 운명과 관련되고 크게는 국가의 운명과 관련됩니다. 교육을 중시하지 않는 집안에 아이들의 미래는 없고, 교육을 중시하지 않는 나라에 민족의 미래란 없습니다.-271~272-
- 작은일을 함으로써 개선과 진보가 이루어지고, 이것이 조금씩 습관이 되면 마침내 커다란 능력이 키워지는 것입니다.
노자의 [도덕경] 에는 이런 말이 잇습니다.
"천하의 어려운 일도 반드시 쉬운 일에서 시작하고, 천하의 대사도 반드시 작은 일에서 시작한다. 天下難事必作于易, 天下大事必作于細 "
위대한 사업도 아주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고 가장 어려운 읽도 매일 하면 조금씩 쉬워지는 법입니다.
자녀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작은 일을 잘해내느 것입니다. 책상를 닦고, 방을 청소하며, 음식을 소중히 여기는 것들, 등등
"작은 일이라고해서 작게 보지 말고, 작은 일이라고 해서 마음대로 하지 말라!" -282~284-
- 부모는 일생을 자식과 함께 할 수 없음으로 자식의 장래를 위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식에게 눈앞의 현실을 주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줘야 합니다.
자녀가 가장 사랑스러운 시기에 아이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단련하게 하고 비바림의 세례를 받도록 하여 생활 속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도록 해야 합니다. 과도한 사랑은 오히려 아이르 해치는 것이다. 자식에 대한 사랑을 절제하는 법을 알지 못한 면 아이를 해치게 될 것입니다. 꽃을 기르는 데 차가운 물을 주어야지 뜨거운 물을 주면 안 됩니다. 현재 많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끓는 물을 주고 잇습니다. -285-
- 만약 구천에서 조진이 조상에게 "너는 어째 그리 못났냐?" 하고 묻는다면 조상은 바로 조진에게 이렇게 반박할 것입니다.
"아버지가 나를 어떻게 키웠는지를 생각해 보세요" 그래서 우리는 인생 최대의 성공은 자녀교육의 성공이고 인생 최대의 실패는 자녀교육의 실패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마의에게서 배울 점은 자녀교육에 공을 들였다느 것이다. 오늘날의 많은 부모들은 자녀가 올바르게 성장하길 희망하면서도 넘어질까 노심초사합니다. 또 자녀가 재목이 되기를 희망하면서도 결코 대담하게 손을 놓지 못합니다. 하루 내내 떠받들고 ,편애하고,지켜주는 것은
아기 호랑이르 온실 속에서 포동포동 살찐 돼지로 키우는 것과 같습니다.
사마의는 한 마리의 늑대처럼 새끼들을 데리고 황야에 나가 사냥을 했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사마사, 사마소 형제를 문무를 겸비한 강력한 지도자로 키워냈습니다. 사마의가 생명의 종점을 향해 갈 때 두 형제는 용감하게 나서서 사마의 어깨에 놓인 중임을 이어받았습니다.-286-
- 눈앞에 있는 가까운 것을 탐하는 사람은 멀리 있는 것을 잃게 되고, 이익에 매몰된 사람은 이름을 상하게 된다 고 한 것이다. -365- 끝.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