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015/ 서하 임춘전 - 임병준 지음

최해식 2024. 10. 12. 20:09

-'국순전'과 공방전'을 지은 천재시인 임춘의  삶과 문학을 소설로 읽는다......9백년 전 고려 의종조 정중부의 난 이후 상황과 임춘 선생의 활동에 대해 잘 전개하였다. .

-고려 의종시절(1167년)  아버지 '임광비'는 사간이 되었다.                                아들 '임대년'은 개경을 떠나 양양(지금의 예천)으로피신하면서 '임기지'로 이름을 바꾸고, 호를 '춘'이라 새로 정했다.-56-

 

-시를 짓는 마음가짐과 시를 짓는 방법 등에 관하여 선생의 말씀을 좀 듣고 싶습니다..........'임기지'는 시를 지을 때 마음속에 감동한 것을 곱씹다 보면 감흥이 일어나므로 그 감흥을 아름다운 문구로 표현하면 된다는 등 자세히 말했다-138-

 

 

 

 

-'수레 얻으려 치질 핥는 것'은 진왕이 비열한 수단으로 부귀권력을 누린고사를 인용한 것이며, '귀 씻고 담 넘는 것'은 벼슬살이에 뜻이 없음을 뜻한다. 따라서 비열하게 부귀권력을 누리는 것이나 벼슬살이에 뜻이 없는 것,  두 가지 모두 마땅치 않지만 속세에  있는 것과 떠나감을 모두 싫어해서야 되겠느냐고 묻고 있다. 결국 속세를 떠나지 않는다면 비록 비열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현실을 인정하고 타협하라는 뜻을 강조하는 것이다. -141-

 

- 서로가 한숨을 쉬며 걱정을 하는 가운데  밤이 소리 없이 깊어지고 있었다. -143-

 

-

-이미수(인로)는 파한집에서 '시인들은 자기의 감정을 시에 담았는데,  임춘이  지은 이 시를 보면  세상에서 쫓겨난 사람처럼 떠돌아다니는 그의 처량한 모습이 보인다'  라고 평했다. -165-

 

 

-무엇이 그렇게 두려웠느가? 하기는 숨어 사는 주제에  떳떳하지도 않은 것이 시실이엇으리라.  결국집을 빼앗아 살고 있는 살람은 아무렇지도 않은 듯 떳떳한데  빼앗긴 사람이 이렇게 숨고 도망해야 하는 것이 참으로 어이없는 일이엇다.-176-

 

- 토끼의 털(토규)은  실로 만들어도 베를  짤 수 없고  귀리(연맥)는 보리이지만 먹을 수 없다는 점에서  '토규연맥' 은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181 -

 

- 뜨겁던 여름이 지나가고 소슬바람이 부는 시원한 가을이 되었다ㅏ.-208-

 

-'기지'는 불우한 나무는 기지의 신세와 같이 후미진 곳에서 외롭게 지내거나 꺾이기도 한다는 생각이 불현듯 떠올랐다.  그에 반해 후원에 있는 버드나무는 벌레 먹거나 휘어지기는 했어도 외롭지도 않고 수난도 당하지 않아서 좋겠다

생각했다.-213-

 

-계속 244부터 읽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