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995/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 - 정운현 지음
최해식
2023. 8. 12. 20:54
-1948년 9월22일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 법에 근거해 국회 내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약칭:반민특위)가 구성되어 1949년1월8일부터 검거에 나선 특위는 제1호로 화신 재벌 박흥식을 검거한 데 이어 일본 헌병 앞잡이로 250여 명의 독립투사를 밀고한 악질 친일파 이종형을 검거했다......친일 경찰 노덕술 등을 잇달아 검거했다.
특위의 활동이 가속화되자 신변에 위협을 느낀 친일 세력은 경찰 집단을 중심으로 특위 와해 공작을 폈다. -112-
-1950년6월25일새벽4시, 북한군은 38도선 전역에 걸쳐서 기습 공격을 개시하여 남침 3일 만인 6월28일 오후 3시경 서울을 점령햇다. -125-
-1960년3월15일, '제1차 마산 사태'는 선거 당일인 3월15일 당국이 야당 참관인을 강제로 축출하고 부정선거를 자행하려는 데 반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오후3시경 민주당사 앞에 모여 있던 수천 명의 군중은 관건 부정선거를 규탄하며 행진을 벌이다 남성동 파출소 앞에서 경찰과 대치했다.-145-
-1960년4월26일 이승만은 하야 성명을 발표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4.19 혁명이 일어난 지 꼭 일주일 만이엇다. 이날 경무대를 나온 이승만은 이화장에 한동안 머물다가 5월29일 하와이로 망명했다. 이승만은 1965년 7월19일 하와이 호놀룰루 요양원에서 사망한 후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150-
-1964년9월11일 의무 요원130명과 태권도 교관 10명이 월남에 파견된 것을 시작으로 한국군은 사상 처음으로 해외에 군대를 파견했다. 1965년부터는 전투요원도 파병했는데,이때부터 1973년 철군할 때까지 8년5개월 동안 월남전에 참전한 인원은 32만여 명에 달한다. -164-
-1987년12월17일, 제13대 대통령에 노태우 후보 당선
1992년12월19일, 제14대 대통령에 김영삼 후보 당선-292-
-1997년12월19일, 제15대 대통령에 김대중 후보 당선-333-
-2002년12월19일, 제16대 대통령에 노무현 후보 당선-349-
-2010년11월23일 오후 2시30분 북한군은 연평도 일대에 포격을 가해왔다. 사건의 발단은 해군의 포 사격 때문이었다. 당일 오전8시20분 북측은 '북측 영해에 대한 포 사격이 이루어질 경우 즉각적인 물리적 조치를 경고한다'는 통지문을 발송 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훈련 중단 요청을 거절하고 예정대로 훈련을 진행했다. 연평도 주둔 해병대는 오전10시15분부터 오후 2시24분까지 네시간 동안 3,657발의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이로부터 10분 뒤인 오후 2시34분부터 북한군은 개머리 해안 부근 해안포 기지로부터 762밀리 평사포 등으로 연평도 군부대 및 인근 민가를 향해 무차별 포격을 시작했다.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