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980/ 혼불 4 - 최명희 지음

최해식 2023. 7. 25. 14:01

- "아 머이든지 질 나먼 좋제에.  귀목에 먹감나무 장롱이어야만 좋응가아? 암만 하찮은 바가지 한 개라도 내 손에 오래 익으면 살갑고, 이쁘고,금밥그륵을 준대도 안 바꾸게 정들어서 그 바가지 한 개 갖고 오만 짓을 다 허는 사람도 있잖응가.-171-

-묵은 겨울의 삭은 잿빛 주저리를 벗기며 한쪽부터 수줍게 트이는 봄빛이, 아직은 얼른 나서지 못한 채 처마끝에서 머뭇거리고 있을때, 초가지붕 짚시울에 엉겨 있던 눈이 녹아 탐방 탑방 떨어지는 물소리를 신호로, 오류골댁은 겨우내 덮었던 이불과 요의 호청을 뜯어 칼칼이 빨아 냈다.-188-

 

-먼 데 산줄기와 굽이를 담채(淡彩) 붓갈피로 지우면서 누가 눈치 못 채게 다가온 봄이 이제는 가차이 노적봉에까지 스미어, 솔빛이며, 나뭇잎 다 깎아 버렸던 삭모(削毛)의 겨울가지 날카로운 끄트머리에 아슴한 연두 물빛 돌면, 간짓대 받쳐 세운 빨랫줄에는 두두두둑, 투둘,물방울 떨어지는 호청이 희고 눈부신 휘장처럼 펼쳐져 널리었다.

"봄은, 먼 산에 아지랭이 언덕 위에 풀빛으로도 오지마는 부지런한 아낙네의 호청 빨래갈하고 한가로운 낙수 소리로 오느니"

한사(寒士) 남평 이징의는, 이른봄의 얇은 종이 같은 박지(薄紙) 햇볕을 함뿍 빨아들여 온 마당 가득히 하얗게 채우는 호청을 부시게 바라보며, 남평댁한테 그렇게 말한 일이 있었다.-189-

 

-마당에 조랑조랑 다닥다닥 꽃핀 듯이 열린 앵두를 따서 앵두화채를 만들었고, 앵두편과 증편을 쪄 큰댁에 보낸 다음 손님들한테 대접하며 웃고 놀았다..................."단오날 정오에 캔 약쑥 익모초가 제일 좋지. 약효가 그만이라"............익모초(益母草).암눈비앗.  이름 그대로 부인들, 특히나 산모와 어머니를 이롭게 하는 이 월년생초본 두해살이 풀은 네모난 줄기와 부드러운 순,꽃,잎,열매 모두 하나도 버릴 것 없이 약으로 쓰이었다..........."유월유두날 익모초를 먹으면 더위를 안 탄단다."-191-


(출전 : 하얀 구름)

 

문서 가닥만 있다고 양반이 아니라, 그 가싱에 똑 맞는 행실이 따라야만 양반잉 거이여.  그렁게 매화나무는 매화나무답게 한겨울 엄동설한에도 꽃망울을 피고, 암향(暗香)이 浮動해서 은근허고 고결헌 향기가 사방에 떠 있어야만, 매화, 그러잖겄능게비?" 소나무는 낙목한천에 온 세상 잎사구가 다 물들어 떨어져 부러도, 독야청청 꿋꿋허고 새파러게 변함이 없어야 소나무고,국화는 오상고절이라, 남만헌 봄 무성헌 여름을 마다허고, 그 온갖 잡꽃 피기 좋은 시절에는 묵묵히 감추고만 있던 꽃을  찬서리 내려서 다른 꽃 다 시들어 버릴 때, 서릿발 속에서도 외로이 피어나 홀로 절개를 지키며 높은 향기를 뿜어야만 국화고,

대나무는 사시사철 푸른 잎새 곧은 마디 빈 몸퉁이 대나문디,............봄에 피는 국화, 알록달록 단풍 드는 소나무, 여름에 만발한 매화며 구부러진 대나무는 진실한 군자에 못 든다고 임서방은 말했다. -243-

-

 

-잘 보았습니다. 끝-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