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950/ 나,요즘 마음이 힘들어서 - 함영준 지음
최해식
2022. 2. 6. 19:28
최피디글
좋아하는 글 ; 澹泊明志 寧靜致遠 . 아무 생각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면 열심히 생각하는 사람을 따라갈 수가 없다. 생각하는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다.충실한 삶을 살
www.youtube.com
본인 채널의 URL에 " ?sub_confirmation=1 " 을 붙이는 것이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Jhh7Rz4VTfLO_ZoLAZPyiw?sub_confirmation=1 이렇게 하면, 링크를 클릭하면 채널 구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채널구독확인' 이라는 팝업창이 뜹니다. 구독을 클릭합니다. )
-적당한 술은 사람을 즐겁게 만들며 정신 건강에도 좋다. 그러나 과도하게 마시면 실수가 일어난다. 감정 변하를 급격하게만들기 때문이다. 누구든 취하면 평소 신중하거나 배려하던 자세에서 벗어나 상대방에게 함부로 행동하거나 심한 말을 갈 가능성이 있다. -94-
-모든 것이 그들이 전생에 지은 업보 탓이라고 말한다. -100-
" 지금 내모습은 과거의 숱한 내 선택의 결과다. " 출전 : 이창호 칼럼 : 과거의 덫에서 탈출하라.http://www.newssesang.kr/news/articleView.html?idxno=9881
-인생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이다. 햇볕도 나고 비바람도 분다. 폭풍우가 내리치다가 언제 그랬냐는 듯 눈부신 햇살이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여름이 지나면 가을,겨울이 찾아온다. 자연법칙이 이러하듯 우리의 삶이나 마음의 상태도 늘 변덕스러울 수밖에 없다. -101-
-지금, 내 마음을 지켜주는 책= 조엘 오스틴 목사가 쓴책 [긍정의 힘] 이다. -106-
-인간의 뇌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부정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긍정적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행복은 결국 긍정의 선택과 훈련,습관을 통해 이뤄진다. ......................................19세기 스코트랜드 의사 '새뮤얼 스마일스'가 말한 것=
"생각을 조심하기를, 말이 되므로.
말을 조심하기를, 행동이 되므로,
행동을 조심하기를, 습관이 되므로.
습관을 조심하기를, 성격이 되므로.
성격을 조심하기를,운명이 되므로.
우리는 생각하는 대로 된는 존재이기에. -113-
-인간의 뇌는 어떤 생각이나 행동이 반복되면서 신경세포 (뉴런) 간에 '시냅스' 들의 '회로' 가 형성된다. 즉 뇌에 작은 길이 생기는 것이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게 되면 그런식으로 길이 만들어지고, 부정적 생각을 하면 또 그런 식의 길들이 만들어진다. ......................미국의 심리학자 맥스웰 몰츠는 " 무엇이든 21일 동안만 계속하면 습관이 된다" 며 21일 법칙을 주장하다. 어떤 생각이나 행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뇌 속에 회로(시냅스)가 형성되고 21일이 지나면 '습관' 이라는 길이 뚫린다는 것이다. ...................가능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말하고,행동함으로써 우리의 뇌 속에 '긍정의 회로' 를 만들어야 한다.-114-
-다산 정약용이 전남 강진을 귀양갔을 때, 15살 소년 '황상'이 이렇게 말했다.
"저는 세 가지 병통(단정)이 있스버니다. 첫째 너무 둔하고, 둘째 앞뒤가 꽉막혔으며, 셋째는 분별력이 없어 답답하다는 점입니다"
이에 스승 정약용은 이렇게 대답한다.
"배우는 사람에게는 큰 병통이 세 가지 있다.
첫째 한 번 보고 척척 외우는 사람은 그 뜻을 음미하지 않아 금세 잊어버린다. 둘째 제목만 던져줘도 글을 짓는 사람은 똑똑하지만 글이 가볍게 된다. 세째 한마디만 해도 금세 알아듣는 사람은 곱씹지 않아 깊이가 없다. 네게는 그것이 없다"
이 일화는 사람은 누구나, 잘 나거나 못 나거나 다 각자의 특장과 쓰임새가 있으므로 굳이 자기 것을 낮춰보고 남의 것을 부러워할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238-
-
과거는 이미 지나갔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앗다. 바로 지금의 마음의 상태가 내 과거와 미래의 시간들을 지배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이 내게 가장 값진 시간이다. 지금 최선을 다하자.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 ' 즉 죽음을 기억하라는 말도 사실 죽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를 일깨워주는 메시지가 아닌가.-2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