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898/ 독도전쟁1 - 김하기 지음

최해식 2020. 3. 7. 17:33

코로나19  때문에 도서관에 금일 5월19일 방문하였음.

-만남은 인연이지만 관계는 노력이라 했던가.   노력해서 배운 대금이 사라진 아저씨와 보이지 않는 관계를 맺어주는 것일까  -113-

 

-줄탁동시(茁啄同時) :   삼칠일(21일)이 지나면 알 속 병아리는 밖으로 나오려고 연약한 부리로 '토도도독' 알을 쪼지.  그러더라도 어미닭은 가만히 보기만 한다.   계속 병아리가 부리로 쪼아 껍질에 금이 가고 머리가 밖으로 나오려고 할 즈음,  어미 닭이 억센 부리로 한방 탁 쪼아 껍질을 깨트리지.  그렇게 줄(茁,쫌)과 탁(啄,깨트림)이 동시에 일어날 때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법이다. -114-

 

-"오리새끼 물로 간다. 고  항상 조심해라."  -140-

 

-냉철하게 사세를 판단해 호시우행(虎視牛行 호랑이 눈으로 보고 소처럼 걸어간다) 하지 않으면 하루아침에 역적으로 몰려 멸문지화를 당하고 만다.  -162-

 

-박어둔은  논어 '술이편'을 마치 얼음 위의 박을 밀듯이 술술 외웠다.   자왈:'군자탄탕탕, 소인장척척(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 )' 이란 무슨 뜻인가?

"군자는 마음이 넓고 느긋하나,  소인은 마음이 좁아  늘 조마조마 하다" 는 뜻입니다.-203-

 

-일본인 중에서 '하세쿠라 츠네나가'는 아시아인 최초로 아메리카 신대륙을 통해 유럽으로 들어간 분이지요.  -345-

 

-조선에 설치된 왜관은 지난 300년 동안 한일 관계에 따라 수차례 폐쇄와 재개를 반복했다. -359-

 

-........-375-끝. 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