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3/ 필적은 말한다. - 구본진 지음
- 백범 김구의 서체는 소동파의 특징도 보인다. 틀에 구애되지 않코 붓 가는대로 구름에 달 가듯이 썼다. 글씨에서 꾸밈이없는 천진함이 느껴진다. 大巧若拙대교약졸이라는 말처럼 연미하고 유려하지는 않지만 기교를 뽐내지 않으며, 언뜻 보면 졸렬하고 어눌한 듯하나 자주 대하면 달빛에 매화 향기가 떠다니는 것처럼 은은한 맛을 느낄 수 잇다. 선생의 글씨는 야위거나 메마르지 아니하고 살찌면서 부드러움을 내포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인자하고 후덕한 인품을 엿볼 수 잇게 한다. -106-
- 친일파의 거두 박영효는 어떨까? 박영효는 갑신정변의 주역이자 태극기를 처음 만든 인물이다. 12세 때 철종의 附馬부마가 되었고, 개화파의 핵심인물로 성장한다.그는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하여 10년 동안 일본에서 捲土重來권토중래를 꾀한다.한일합방 때 후작의 작위를 받고 1920년을 전후해서 극렬한 친일행각을 벌였다.-125-
-의암 손병희는 말단 관리의 서자로 태어나, 어릴 적에는 학문과 담 쌓고 싸움을 잘하는 아이였다고 한다. 22세에 동학에 들어간 손병희는 전봉준과 투합하여 동학혁명을 주도한다. ......러일전쟁이 일어나기도 전에 일본이 승리할 것을 예견하고는 조선도 러시아를 상재로 선전포고를 하여 일본과 함께 전승국의 지위를 누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심지어 일본 정부에 군자금을 지원하려고도 했다. 이는 친일이 아니라 일본의 힘을 빌려 러시아와 일본 양쪽을 견제하겠다는 고도의 전략이었다. 그는 국제 정세를 읽고 정치 수완을 발휘할 줄 아는 지략가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 -127-
-초대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의 형 이회영은 민주당 이종걸 의원은 이회영 선생의 직계손이다. 그러니까 이시영 선생이 이종걸 의원의 작은 할아버지인 것이다. -138-
-이완용의 비서 이인직은 친일문학의 선구자라고도 불린다. 그는 한국 최초의 신소설 [혈의 누]를 쓴 것으로 유명한데, 당대에 이름 있는 유학자이자 일본어에도 능통한 사람이었다. 그는 이완용의 비서로 일하면서 한일합방의 막후에서 크게 기여한 적극적인 친일파였다. -172-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 초대 총리를 포함하여 네 차례나 총리를 역임한 인물이다. 메이지 헌법의 초안을 마련했으며 양원제 의회를 수립하는 등 근대 일본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일본의 10대 영웅으로 꼽히는 인물이지만 우리 민족에겐 굴욕적인 을사조약을 강요하고 대한제국 초대 통감에 앉은 민족의 원흉이었다. 그러나 통감으로서는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온건하고 동정적인 접근방식은 한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일본 내의 지도자들이 주장했던 한국 합병 움직임도 막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182-
-그림은 전성기 때 작품을 가장 좋은 것으로 치지만 글씨는 죽기 전 남긴 마지막 글씨를 최고로 친다. 이를 絶筆절필이라고 하는데. 사람의 인격이 가장 잘 드러나 있다고 해서 높은 가치를 매기는 것이다 -201-
- 수집은 우리의 인생살이와 닮았다. 때로 좋은 결과를 얻어내기도 하지만 낭패를 볼 때가 많다. 아무리 간절히 원해도 나와 인연이 없는 글씨는 슬며시 빠져나간다. 이럴 때 나는 이것이 글씨와 ㅇ 나의 운명이려니 한다. 그래도 확실한 한가지는 실력을 쌓고, 노력을 하면 할수록 좋은 작품을 얻게 된다는 것. 螢雪之功이나 臥薪嘗膽 같은 옛 교훈을 깨닫게 된다. -277-
-인생은 인과관계이다. 오늘은 어제의 결과이자 내일의 원인이다. 그 원인은 우리의 무의식이 형성한 매일매일의 행동에서 나온다. 따라서 우리 무의식의 행동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격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면 내일이 바뀌고 결국 인생이 바뀌는 것이다. -328-
출전 ;오늘을 후회하지도 말고, 낭비하지도 마라.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amnsw&logNo=221222033887#
-미국의 유명한 필적 컨설턴트인 바트 바겟은 글씨체를 바꾸서 효과를 보려면 21일에서 30일의 훈련기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자신이 원하는 글씨체를 꾸준히 연습하면 성격이나 인생이 바낄 수 있다는 것은 매력적인 일이다. 필적요법은 특히 어린이들의 집중력 향상과 인성 개발에 효과가 있다. -329-
-........-345-끝.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