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814/명리철학-오봉환 지음

최해식 2019. 6. 16. 14:23

-태풍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는 '필요악'수도 있겠지만,  인간이 환경을 오염시키면 시킬수록 대지의 작용력은 중화를 이루기 위해 더욱 더 강력한 태풍을 만들어낼 것이다. 이는 비단 태풍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다.  모든 생명체와 한 몸을 이루는  환경 및 기후 변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75- 


-火역시 陽火가 있고 陰火가 있다.  양화는 적극적으로 드러내어 피우고자 하므로 꽃을 피워 과육을 풍성하게 하려하고, 음화는 수렴과 숙살을 도와 겨실을 이루어 씨를 견고히 하고자 한다.  여름의 시작인 立夏부터 정점인 夏至까지는 양화의 기운으로 적극적으로 개화하여 피우고자 하는 기운이고,  夏至부터 가을의 시작인 立秋 전까지는 음하의 기운 으로 다 자란 결실을 익어가게 하는 기운이다. -87-


-丙火는 양화이므로 적극적으로 피어나게 하는 기운이고,  丁火는 음화이므로 소극적으로 익어가게 하고, 영글게하는 기운이다. 따라서 작열하는 여름의 태양 빛은 丙火이고, 가을의 따가운 태양 빛은 丁火다.-88-


-陰極卽 陽生이요, 陽極卽 陰生 이란,  봄의 정점인 춘분에서 金(가을)기운이 시작되고, 가을(金)의 정점인 추분에서 木(봄)기운이 시작된다는 이치가 잇다. 뿐만 아니라 한 여름인 하지에서 겨울의 씨인 水기운이 시작되고, 동지에서 火기운이 시작된다는 이치가 또 있다. -100-


-24절기 -118-

-

-


-陰陽으로 보고자 함은 體로 본 시각이고, 간지,생극합충 등 五行으로 보고자 함은 用으로 본시각이다. -149-


-體用변화를 보자.  물은 액체로서 영하의 기온으로 떨어지면 얼음이 되고 눈雪.도 되며 눈사람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물은 體(음,水)고,  얼음,눈, 눈사람은用(양,火) 이다. 그리고 온도의 변화와 예술가의 손길은 만남의 변화다. -154-


-변화 이전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 體고, 변화를 보인 것이 用이지만, 체와 용은 우리의눈에만 변화로 보일 뿐  변화된 것이 없다.-157-


-體는 바탕인 음양으로 본 시각 이고, 用은 변화를 보이는 음양 즉, 오행이다. -160-


-춘분은 체는 양이면서 생명역의 성장이 극성를 이루는 절기이므로 木氣가 가장 강한 목왕절이고, 하지 역시 체는 양이면서 광합성을 통해 꽃과 결실이 다 잘 수 있도록 피어나는 기운이 극성을 이루는 절기이므로 火氣가 가장 강한 화왕절이며, 추분은 體는 음이면서 숙살지기를 통해 결실이 농익어 가는 것이 극성을 이루는 절기이므로 金氣가 가장 강한 금왕절이고, 冬至 역시 체는 음이면서 木을 태어날 약속된씨가 응축의 극대화를 이루는 계절임으로 水氣가 가장 강한 수왕절이다. -`166-


-남자는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려는 양의 기운이지만 여자라는 음의 기운이 없으면 활동해야 할 명분이 없게 되고, 활동할 남자가 있기 때문에 여자는 그 버팀목(바탕)이 되고자 한다.  그래서 '남자와 여자' 가 간지로서 균형을 이루어 '사람'이라는 오행을 형성하고 '부부'라는 오행을 형성한다.  육체라는 버팀목이 있어야 정신이 활동을 할 수 있고, 정신이 활동을 해야 육체가 존재하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ㅣ이다. -169-


-생명력을 ㅅㅇ상징하는 甲木이라 해도 그 품고 있는 변화 이치는 모두 다르다.  즉, 갑자는 생명력의 잉태를, 갑인은 생명력의 탄생과 생장을, 갑진은 생력이 결실의 씨를 준비함을, 갑오는 광합성의 극대화를 토안 생명력의 ㅍㅇ팽창을, 갑신은 숙살에 의해 생명력이 농익어 감을, 갑술은 생명력이 씨 안에서 응축을 시작해 내년을 준비하게 한다. -172-


-60갑자라는 한 묶음 자체가 생명력의 흐름을 생 변 멸이라는 의미를 담아 정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181-

(출처;책181페이지 )


- 천간, 지지,지장간의 역할 ;

한 가정에서 아빠의 역할과 엄마의 역할 그리고 자식들의 역할을 보면 이해에  도움이 된다.

자식이 기대 이상을 훌륭히 자라준다면 한없이 자랑스럽고 행복할 것이고, 포기하고  싶을 만큼 속을 썩이면 인생2/3 이상이 허망한 것과 같다. -226-


-채용변화에 의한 '오행의 생 변 멸' 을 '1년의 시작' 과 '하루의 시작' 을 염두에 두고 참고해보자  (사진 첨부)  -236-


-지장간   -425-

인 - 무병갑

신 -무임경

사 - 무경병

해 -무갑임

자 -임계

오-병기정

묘 -갑을

유 -경신

진 -을계무

술 -신정무

축 -계신기

미 -정을기


-.....-456-끝.잘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