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806/ 명리 -강헌 지음

최해식 2019. 5. 25. 14:34

- 命理學은 우주의 보편타당한 본성을 통해 불완전한 인간의 삶을 아름답고 조화롭게 승화시키기 위해 존재한다.-25-


-우리가 명리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자신의 삶을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33-


-나보다 나를 잘 아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내가 내  원국을 이해하는 방법을 배운다면, 이 세상  누구보다 더 정확하게 나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 아닌가? 명리학을 공부하여 스스로  해석할 수 잇다면 무엇보다 자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그래서 우리가 명리을 공부해야하는 이유이다. -43-



-나이 50을 넘어 세상을 사는 데 , 똥인지 된장인지 구분을 못하면 추한 거다.  그 나이에 훌륭하게 사는 법은 입은 다물고 지갑은 여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어느 장소에 가더라도 훌륭한 대접을 받게된다.  만일 열 지갑이 없다면 입을 다무는게 좋다. 계절에 맞는 옷이 있듯이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그 나이에 맞는 말이 있다. -69-


-명리학은 인간학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살피는 인간학 말이다.-82-


--

丁 甲 癸

辰 亥

時   日  月   年

月支  인목이면, 겨울에서 봄으로 너머 넘어오는 입춘에서 경칩사이여서, 초기에는 水의 성분이 강하다가 점차 木의 성분이 강해진다.-103-


-天干合 = 공식처럼 외워야 한다.

甲己 합 土

을경 합 금

병신 합 수

정임 합 목

무계 합 화


-귀인 ;출전 https://www.youtube.com/watch?v=5_WZeajWkHI

日支에 天乙貴人이 있는 경우  성품이 맑고 고결하게 태어난다고 해서  '일귀'日貴라고 부르며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日貴에 해당하는 일주는 丁酉일,丁亥일,癸巳일,癸卯일 4개 뿐이다. .........일주,월주,시주에 天乙貴人천을 귀인이 있으면서 식신을 만나면 금상첨화다. 의식주 모두에 복이 있어 절대 굶어죽지 않는다고 한다. -236-


-身强身弱 ;

일간을 기준으로 자기중심성이 강하면  '신강하다'

자기중심성이 약하면 '신약하다.'  라고 한다. .......신강한 사람은 자기중심성을 최대한 弱化시켜야한다. 그래야 우주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신약한 사람은 자기중심성을 응축시켜야 우주와 조화를 이룰 수 잇다. 이러한 신강,신약은 자기편=비견,급재,편인,정인이 있는가 없는가를 보고 결정한다.  월지가 자기편(= 비견,급재,편인,정인인)경우를 득령(=월지에 내 편이 있다.).    다른편(=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이  있는 경우를 실령(=월지에 내편이 없다.) 이라 한다.    일지에 자기편이 있는 경우를 득지(=일지에 내편이 있다).  다른편이 있는 경우를 실지(=일지에 내 편이 없다) 라고 한다. ......나머지도 비교하여 일간과 오행이 같거나 일간의 오행을 돕는 편이 3개이면 득세(=일간이 세력을 얻었다.) 라고 하고, 2개 이하면 실세(=일간이 세력을 잃었다.)  라고 한다.  -246-


-일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월지다.

명리학은 우주의 변화를 가장 강조하기에 시간과 계절이 중심이 된다. 월지가 무엇이냐에 따라 계절이 결정되므로 일간이 기준점이라면 월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247-


-오행의 조후가 핵심인 명리학에서 월지의 중요함은 말할 필요가 없다. 총점100점 중에서,  월지=25점.일지=20. 시지=15, 시간,월간=12. 연간,연지=각8점. 이다.  합=55점 이상=신강, 40점 미만=신약. 이다. -262-

시간

일간

월간

연간

12

我身

12

8

시지

일지

월지

연지

15

20

25

8


-점수로는 중화에 속하지만 신강으로 적용할 수는 없을까?

있다. 즉,십이운성 중 장생,관대,건록,제왕이 4개중 3개 이상있으면 신강하다고 본. -264-

-원국의 강함과 약함에 따라 넘치면 덜어내고, 부족하면 채워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신강가 신약을 판별하는 것이다. -266-


-신강신약을 판단하는 기준 ;

得令했는가? 得支했는가? 得勢했는가? 이다. -271-


-용신은 원국을 조화롭고,균형있게 만들어주는 오행을 말한다.

넘치는 오행의 힘은 덜어주고,모자라는 오행의 힘은 더해줌으로써 일간의 힘을 극대화 시켜준다. 희신은 용신을 生해주는 오행이다......기신은 용신을 剋하는 오행이다. 구신은 기신을 生해주는 오행이다. 閑神은 기신을 극하는 오행이다.-276-


-추우면 따뜻하게 해주고, 더우면 시원하게 해주는 게 바로 조후용신이다. 억눌린 것과 부풀인 것을 떠올리며  넘치는 건 덜어내고 부족한 것은 보태줘야하는 것이 억부용신이다.  조후용신은 음양오행론을 바탕으로하고,업부용신은 십신을 바탕으로 했다. -294-


-"쉽게 얻은 것은 잃지 않기 위해 조심할 것이며,  어렵게얻은 것은 귀하게 여길 것!"  

또한,명리학은 '조화' 를 강조한다.  "넘치는 것은 덜고, 모자란 것은 보태며,뜨거운 것은 시원하게,추운 것은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  이것이명리학이 전하는 메시지이다. -329-


-.........-333-끝.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