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744/ 하루15분 참선-혜거 스님 지음

최해식 2018. 10. 24. 22:12

-집중표 ;

집중표는 시선을 붙들어두는 역할을 한다. -188-


-집중표는  바닥에 놓고  허리를 숙여 앞으로 민다음, 그 자리에서 10센티 더 먼 곳에 놓는다.      또 하얀 동그라미 안에  시선을 고정시키고, 그안에 마음도 가두어둔다.  -52-      - 시선을 한 점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그곳에 마음을 고정시킨다.-56-


- 參禪 ;

참선▶ 마음을 가라앉혀 자신의 참된 내면을 보는 것이다. 이 내면에 몰입해 관찰하는 것, 이것이 바로 參禪이다.

내면세계를 관찰하려면 멈춰야 합니다. 이는 연못 속에 빠진 진주를 찾으려면 물결 을 고요하게 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연못의 물이 고요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물이 고요해지면 구슬은 절로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려면 멈춰야 합니다.-28-


- "당신은 점점 편안해 집니다." 라고 말한다.

아랫배를 볼록하게 하면서 천천히 숨을 들이 마시고, 홀쭉하게 만들면서 천천히 내쉬도록 한다. 그리고 넷을 셀 동안 들이쉬고, 내쉴 때는 여덟을 센다.-32-


- 參禪과 冥想의 차이 ;

參禪 ;눈을 뜬다. (장점; 시선고정▶집중잘됨▶생각을 깊게 할수 있다.

冥想 ;눈을 감는다. (단점; 졸음과 잡념/망상에 빠지기 쉽다). -54-


- "參禪" 이란 간절한 마음으로 의문을 품고,몰입하고 몰입하여 그 의문이 부서질 때까지 몰입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강한 집중상태에서 한 대상에 몰입하고 몰입하는 것을 말한다.    집중몰입이 왜 필요한가? 문명은 모두 몰입하여 연구해서 얻어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사진기,콤퓨터등 문명물은 관찰과 살핌에서 비롯되었으나, 관찰하고 살핀 사람은 수없이 많지만 모두가 사진기를 만들고 컴퓨터를 만든 것은 아니다.    큰 호기심과 의문을 가지고 깊이 관찰하고 깊이 몰입한 사람만이 그러한 일을 해낼 수 있다. -61-


- "參禪" 이란, 사물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기르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과정입니다. -63-


- 생각은 일어나게 마련인데 그 생각을 곧 바로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곧바로 알아차리면 그 생각은 곧 사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72-


- 잡념/망상을 이겨내는 방법 ;

"아, 내가 잡념/망상을 하고 있구나"  

~~라고 생각하고  바로 그 생각에서 빠져나오면 됩니다.  

~~라고 알아차리고 거기서 곧바로 생각을 멈춰면 됩니다.  -74-


- 呼吸 ;

호흡은 산소를 흡수해 혈액을 깨끗하게 하고, 이산화탄소를 ㅏ밖으로 내보내 생명력을 ㅊㄱ진시킨다. 또 배 속의 압력을 증가시켜 내장 운동을 돕고, 그 결과 내장을 튼튼하게 합니다.-106-


-화가 날 때 ;

조용히 呼吸에 集中해 보십시오. 천천히  깊게 숨을 쉬다 보면 평정심을 되찾게 됩니다. -108-


- 丹田呼吸 ;

아랫배의 단전으로 숨을 쉬는 것을 말합니다. 

짧게 '흡-' 하면서 들이마시고, 아랫배에 힘을 꽉 주고 잠시 멈추었다가 '호-' 하면서 아랫배에 힘을 풀고  내쉬면 됩니다.

걸어 가거나 전철을 타고 갈 때마다 '흡-호-, 흡-호-'  하면서 연습해보세요. 단전호흡을 천천히 하면 그것이 복식호흡이 됩니다.  마음속으로 '흡-' 하면서 천천히 숨을 들이 마시고, '호-' 하면서 천천히 내쉬기를 하면 잡념은 사라지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모든 의식을 아랫배에 모은다. 배가 들어가고 나가는 아랫배에 모든 이식을 集中해야 한다.  109-


- 참선은 할 수만 있다면 이른 새벽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새벽은 하루 중 에너지가 가장 강한 때이고, 고요한데다가. 참선을 방해할 만한 일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176-


- 참선 일기 쓰기;

참선을 하는 동안 몸은 어떠했는지, 호흡은 어떠했는지. 참선하는 동안에  여러 가지 변화들을 기록하다 본면  변해가고 잇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195-


-..........-195-끝.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