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2/붓다의 명상법-지하시 히데오 지음, 남상영옮김
- 사띠(sati) = 알아차림.
빨리語.=현재,이순간에 자신이 어떤 사물에 대해 알아차리는 것. 을 말한다. " 본 것에 대해 봤다. 들은 겻에 대해 들었다. 느낀 것에 대해 느꼈다. 라고 하면서 그런 사실만을 "알아차리는 것" 으로 위바빠사나 명상은 '사띠' 의 훈련으로 진행된다. -18-
- '현재의 상태 를 파악' 하는 능력 + '올바른 판단 을 내릴 수 있는 지혜' = 결단력. 이 두가지 능력을 기르는 명상이 '위빠사나' 명상이다. -34-
- '위빠사나' 명상을 하면 현실감각이 예민해져서 창조력이 계발될 수 있다. -38-
- '위빠사나' 명상을 하면 "무엇인가 눈에 들어온 순간 '봤다' / 귀로 들은 순간 '들었다' / 냄새를 맡은 순간 '냄새가 난다'/ 접촉을 느낀 순간 '닿았다' / 라고 "sati" 를 붙여 그다음으로 이어지는 사고의 흐름을 멈추면 마음의 반응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만약 화가 났더라도 '화남' 이라는 sati를 붙여 대상화하면 화나는 마음이 더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단지, 있는 그대로의 사실에 알아차림을 해서 思考를 멈추고 妄想망상을 떨쳐버리면 무집착의 경지를 얻을 수 있다. -42-
-' 사마디(samadhi) ' 란 '집중' 이 극한 상태에 도달했을 때 '主客合一' 의 감각입니다. 명상의 주체와 그 대상인 객체가 융합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길가의 풀을 바라보고 있는데 내가 그 풀이 되어 버린것을 말한다. -52-
- 끝없는 욕망의 추구 ;
끝없는 괘락의 추구는 더 강한 자극을 찾게 되어 결국 감각이 마비되어버린다. 싯다르타 왕자는 원하는 것을 전부 얻었어도 결국에는 괴로움으로 끝나다는 것을 통감했다. 그런 이유로 出家한 왕자는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어 '붓다' 가 되었다.-64-
- 위빠사나 명상은 思考를 멈추고 事實을 있는 그대로 관찰햐면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난다는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괴로움의 원인은 妄想.이다. 그 망상은 매 순간의 사실에 알아차림을 하는 'satti' 의 기술로 멈출 수 있다. '妄想' 이라고 '언어확인' 을 하면 思考의 흐름이 차단됨니다.-79-
- ' 사마디(samadhi) ' 란 극도의 '집중'입니다. 집중이 극도에 달해 주체와 객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가지 도달하는 집중력을 말한다. -104-
- '제자리에'▶'준비' ▶'땅' 하고 총소리가 울리는 순간에 satti' 를 붙였기 때문에 어떠한 思考도 짜증도 들지 않았다. 이처럼 예리한 'satti' 를 붙이게 되면 思考가 멈추어져 어떠한 반응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111-
- '尋심'은 한곳으로 주의를 集中하려는 마음입니다. '尋'을 강화시키기위해서는 마음이 산란해지지 않도록 그 환경을 설정하는 것이다. 후회스러운 일, 창피한 마음이 드는 말, 행동을 했을 때는 마음이 차분해지지 않습니다. 그러면 마음이 산란해져 '尋'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尋'이 안정되면 그다음으로는 '伺사' 가 나타납니다. '伺' 가 하는 일은 대상을 考察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尋'이 확립된면 그 대상을 伺察사찰할 수 있게 됩니다. -112-
-
- 몸을 움직이면 ▶신체의 감각이 생긴다. 이를 ▶'알아차림' 한다. 이 '알아차림' 을 'satti' 라고 한다. 현재의 순간을 알아차림' 하는 것이다. 이 '알아차림' 을 持續지속시키는 것이 ▶思考나 妄想을 멈추고, 그 상태를 ▶觀察관찰하는 것이 됩니다. ..........步修行=걷는 명상이 효과적이다. 움직임이 역동적이어서 감각을 알아차리기가 쉽기 때문이다.....처음에는 대략적인 움직임으로 시작▶다리 전체의 움직임을 느껴라.-127-
- 言語確認 ;
지금 이 순간에 일어나고 있는 사실 ▶ 알아차려 ▶확인 ▶위빠사나 명상.이다. .........알아차림을 언어화 ▶확정 ▶言語確認이라한다.이처럼 언어로 확인하지 않으면▶그 인식이 ▶애매모호해진다.-128-
- [신체적 감각과 어휘]
오른쪽 발을 내딛고 '오른발' 이라고 언어확인을 합니다. 소리를 내지 않고 마음속으로 합니다. 지금 이순간에 일어나고 있는 일은 보행하고 있는 것, 오른쪽 발이 움직인 것, 그 감각을 느낀 것입니다. 이것이 현재 이 순간을 지각하고 경험한 것이 됩니다. '왼발' '오른발' 이라고, 발의 움직임을 느낄 때마다 언어 확인을 하면 '위빠사나 冥想' 이 始作된 것입니다. 90%는 감각을 느끼는 것에 集中하고, 10%만 언어확인을 하는 데에 使用합니다. 다시말해 신체적 감각을 관찰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신체적 감각에 온 정신을 집중시켜 느끼고, 그리고 '언어확인' 으로 이어지는 것이 좋은 修行입니다. -130-
- 위빠사나 冥想은 현상을 알아 차려서, 그 변화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있는 현상 그대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132-
-▶잡생각 제거법◀
잡생각이 들면, 재빨리 알아차림을 하여 언어 확인을 합니다. 소리가 들리면 '소리' '들었다' '잡념' '망상' 등으로 언어 확인을 하면 된다. ....위빠사나 명상은 현재의 순간을 알아차리는 명상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 자신의 몸과 마음에 무엇이 일어나고 잇는가? 그것을 자각하면서 망상/ 번뇌를 떨쳐버리는 수행입니다. .....위빠사나 명상은 현재의 순간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알아차림의 연속이 더 중요합니다. -138-
- 중심대상으로 돌아오는 이유 ;
집중력을 키우기 위한 것입니다. 빗나가도 빗나가도 한곳으로 마음을 되돌려 놓는 훈련입니다. 단순한 ▶'알아차림' 에서 ▶'관찰'의 명상으로 발전되고, 나중에는 ▶'통찰' 하는 것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140-
- 명상 초기 단계에서는 지속적으로 의식을 기울여 집중력을 높여야 한다. 지속적으로 '알아차림' 을 하여야 한다. 걸을 때 발의 감각, 그 느낌의 변화에 집중하여야 한다. -144-
***▶호흡에 집중하는 법2.◀
나의 의식을 호흡에 집중한다. (=나의 의식을 발에 집중한다=步修行, 나의 의식을 '運'에 집중한다=話頭修行) 중간 중간 잡생각이 떠오른다면, 그것을 저항하지 않고, 미안하려하지 않고, 그것이 그 곳에 존재함을 그대로 인정하고, 나는 다시 , 나의 호흡으로 돌아오면 됨니다. ...잡념이 떠오르는 것을 당연하게 인정해 주고 , 나는 다시,내호흡에 집중합니다.
(출전;마음챙김명상 https://www.youtube.com/watch?v=HMp67fyi7qk )
(출전;741/최강의 명상법-와타나베 아이코 지음 http://blog.daum.net/chscoral/2129
- 步修行보수행 =걷는 명상
1.발의 감각에 의식을 集中한다.
2.오른발로 걷기 시작한 경우 ▶ '오른발' 이라고 '언어확인' 을 한다.
3.왼발로 걷기 시작한 경우 ▶ '왼발' 이라고 '언어확인' 을 한다.
4.마음이 가라앉을 때까지 反復한다. -149-
- [坐修行의 방법]
1.호흡으로부터 복부의 감각을 느껴본다.
2.(배가)불러오는 감각을 느끼고 나서 '일어남' 이라고 언어확인 을 한다.
3.(배가)꺼지는 감각을 느끼고 나서 '사라짐' 이라고 언어확인 을 한다.
4. 2와3을 반복 한다. -162-
- [있는 그대로를 관찰함]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통찰하는 것이 위빠사나 冥想입니다. -166-
- 사띠(sati) = 알아차림. -205-
- 좋은 冥想을 하기위해서 명심해야 할 것= 小食.이다. 고도한 명상을 위해서는 小食이 效果的이다. 식사조절로부터 冥想은 시작됩니다.-231-
- ' 화를 내지 않는다. 싸우지 않는다.' 를 염불하는 것처럼 마음속으로 반복하고, 마음을 컨트롤하여 큰 효과를 봤습니다. -242-
- Karma=카르마 (業報) ;
** Karma's a funny thing. =업보는 재미있는 것이야.
배반하면 배반당하며, 속이는 사람은 속임수에 빠지며, 훔치는 사람은 도둑맞고, 자애로운 사람은 사랑받으며, 베푸는 사람은 베풂을 받는다고 하는 Karma=카르마의 기본 법칙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마음의 청정도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245-
- "화를 내면 그 果報를 받는 것은 나자신이다." 라고 스스로에게 타이르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그것은 강한 억제력을 발휘했습니다. 성냄의 과보를 받는 자신을 생각한 순간 분노심이 사라졌습니다. -246-
- 명상을 하면 나타나는 현상 ;
1.머리 회전이 빨라진다.
2.집중력이 길러진다.
3.기억력이 좋아진다.
4.분석력이 계발된다
5.결단력이 생긴다.
6.창조성이 길러진다.
7.괴로움음 못 느낀다.
8.화를 내지 않게 된다.
9.불안감이 없어진다.
10.집착하지 않게 된다.
11.현상의 흐름이 좋아진다.
12.트러블이 해결된다.
13.사람들이 친절해 진다.
14.건강이 좋아진다.
-............-263-끝.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