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706/ 주역, 인간의 법칙 -이창일 지음

최해식 2018. 6. 10. 17:36

-十翼;

彖辭(卦辭)에 대한 주석 ;단전 상하.

爻辭             "    ; 象傳 상하( 大小 象傳 ).

경                  "  ;  繫辭傳 상하.

주역의 상징     "  ; 설괘전

괘 순서           " ; 서괘전

기타              "  ; 잡괘전

건,곤괘 대한 주석; 문언전      -111-

[*** 象傳에는 大象傳과 小象傳이 있다. 대상은 괘 전체 뜻에 대한 설명이다. 소상은 각 爻에 대한 설명이다.]



-元亨利貞;

'크게 형통하고 일을 처리하는 것이 이롭다'  로 읽는다. -121-


-貞吉 ;'가장 좋은 일' 이라는 뜻.

可貞 ;'괜찮다' ㄴ는 뜻.

貞吝정린 ;'조금 안 좋다. 조심해라' 는 뜻.

貞厲정려 ; '그 일을 하면 위태롭다' 는 뜻.

可貞 ; '그 일은 해서는 안 된다.'

貞凶 ; '그 일을 했다간 망신을 당하고 낭패를 볼 것이다' 는 뜻.  -126-


-영원한 어둠이나 영원한 밝음이란 존재할 수 없다. 한 번 어둠이 세력을 차지하면 다시 밝음에 자리를 내줘야하고, 밝음 역시 어둠에게 자리를 비켜줘야 한다. 한 번 어두워지고 한 번 밝아지는 것이 바로 이 세상의 진실한 사실이고, 우주의 진리이다. -140-

** 一陰一陽之謂道 ; "한 번 陰하고 한 번 陽하니 이를 일러 道라 한다.


- 大象傳읽기  =  修身;

깨달음은 어느 날 문득 오는 것이지만. 그 어느 날은 물이 만물의 뿌리에 스며들어 성장을 돕듯이 보이지 않는 공을 쌓고, 공을 쌓는다는 생각 없이 도를 향해 정진하다 보면 어느새 도와 마주하게 되는 그런 때입니다. -448-


-.............-452-끝.잘봄.



-大象傳은 옛사람들이 修身을 위해 吟味하고 관조하며, 가슴에 새겼던銘文 명문.의 산실이다. [*** 象傳에는 大象傳과 小象傳이 있다. 대상은 괘 전체 뜻에 대한 설명이다. 소상은 각 爻에 대한 설명이다.] -414-

☰ ☷ ☳ ☴ ☵ ☲ ☶ ☱

1. ☰ 중천건 /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 하늘의 운행은 굳건하니.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스스로 굳건히 하여 쉬지 않는 것이다.

2. ☷ ☷ 중지곤 / 地勢坤,君子以,厚德載物/ 땅의 형세가 곤이니,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포용한다.

3. ☶ ☵ 산수몽/  山下出泉蒙,君子以, 果行育德/ 산 아래에 샘물이 흘러나오는 것이 몽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과감하게 행동하고 덕을 육성한다.

4.☷ 지천태/ 天地交泰,后以,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宣, 以左右民/ 하늘과 땅이 교섭하는 것이 태괘의 상이다.  임금은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천지의 도를 잘 조절하여 이루고, 천지의 마땅함을 보필함으로써 백성을 돕는다.

5.☲ 화천대유/ 火在天上大有,君子以,遏惡揭善알악게선, 順天休命/ 불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대유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악을 억누르고 선을 선양하여,  밝게 빛나는 하늘의 명에 순응한다.

6.☷ ☶지산겸/ 地中有山謙,君子以,裒多益寡부다익과,稱物平施/ 땅 속에 산이 있는 것이 겸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많은 것을 덜어내어 적은 것에 보태며,  만물을 균형있게 평가하고 공평하게 베푼다.

7.☳ ☷ 뢰지예/ 雷出地奮豫분예,先王以, 作樂崇德,殷薦之上帝은천지상제,以配祖考/ 우레가 땅 속에서 떨치고  나오는 것이 예괘의 상이다.  선왕은 이 괘상를 관조함으로써  음악을 만들고 덕를 숭상하며,  성대하게 상제에게 바치고,  이로써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다.

8.☷ ☳지뢰복/ 雷在地中復,先王以, 至日閉關폐관,商旅不行,后不省方후불성방,/ 우뢰가 땅 속에 있는 것이 복괘의 상이다. 선왕은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동지와 하지날에는 외부로 통하는 문을 닫으니. 상인과 여행자가 다니지 않으며 임금은 지방을 순시하지 않는다.

9.☰ ☳천뢰무망/ 天下雷行, 物與無妄, 先王以, 茂對時, 育萬物 /

하늘 아래 우레가 치며 지나가니, 사물이 나와 더불어 망령됨이 없다.  선왕이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때에 화답하며,  만물을 번성하게 하며 만물을 육성하는 것이다.

10. ☳山雷頤산뢰이/ 山下有雷頤이, 君子以,愼言語,節飮食/

산 아래 우레가 치는 것이 이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언어를 신중하게 하고,  음식을 절제한다.

11.☱ 택풍대과/澤滅木大過,君子以,獨立不懼불구,遯世无悶돈세무민/

못에 나무가 가라앉는 것이 대과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홀로 서 있어도 두려워하지 않으며, 세속으로부터 은둔하는 삶을 살더라도 근심이 없다.

12.☵ ☵중수감/ 水洊至수천지, 習坎, 君子以,常德行, 習敎事 /

물이 거듭 흘러와 닿는 것이 감개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서 항상 덕행을 닦고,  자신을 가르치는 일을 되풀이하여 실행한다. 

13.☱ 택산함/  山上有澤, 咸함, 君子以,虛受人허수인/

산 위에 못이 있는 것이 함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겸허하게 사람을 수용한다.

14.천산둔/ 天下有山, 遯둔, 君子以,遠小人원, 不惡而嚴불오이엄/

하늘 아래 산이 있는 것이 둔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소인을 멀리하되 그를 미워하지않고,  다만 엄격히 대할 뿐이다.

15.☳ 뢰천대장/ 雷在天上, 大壯, 君子以,非禮弗履비례불리 /

우레가 하늘 위에  있는 것이 대장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예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

16.☲ ☷화지진/  明出地上, 晉진, 君子以,自昭明德자소명덕/

밝음이 땅 위로 나오는 것이 진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상을 관조함으로써 스스로 명덕을 밝게 드러낸다.

17.☴ ☲풍화가인/  風自火出, 家人, 君子以,言有物而行有恒 물이행유항

바람이 불로부터 나오는 것이 가인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말에는 분별이 있고 행동에 항상됨이 있도록 한다.

18.☵ ☶  水山蹇/  山上有水,蹇건,君子以,反身修德/

산 위에 물이 있는 것이  蹇卦건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자신을 반성하고 덕을 닦는다

19.☶ ☱산택손/  山下有澤, 損손, 君子以,懲忿窒欲징분질욕/

산 아래 못이 있는 것이 손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분노를 가라앉히고 욕심을 막는다.

20.☴ ☳풍뢰익/  風雷, 益, 君子以,見善則遷즉천, 有過則改유과즉개/

바람과 우레가 있는 것이 익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선을 보면 따르고 잘못이 있으면 고친다. 

21.☷ ☴지풍승/ 地中生木, 升승, 君子以,順德, 積小以高大 /

땅 속에 나무가 생겨나는 것이 승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덕을 따르고,  작은 것을 쌓음으로써 큰 것을 높인다.

22.☳ ☳중뢰진/ 洊雷천뢰, 震진, 君子以,恐懼修省공구수성/

우뢰가 거듭 치는 것이 진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두려워하고 수양하며 반성한다.

23.중택태/ ☱ ☱ 려택, 태, 군자이붕우강습 麗澤, 兌, 君子以朋友講習 * 麗=兩 /

두 개이 연못이 잇달아 있는 것이 태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친구들과 더불어 강론하고 학습한다.

24.뇌산 소과/  

산 위에 우레가 치는 것이 소과괘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행실은  지나칠 정도로 공손하게 하고,  상사에는 지나칠 정도로 슬프게  하며, 쓰는 것은 지나칠 정도로 검소하게 한다.

25.수화 기제/

물이 불 위에 있는 것이 기제괘의 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관조함으로써 환란을 생각하고 그것을 미리 방지한다.

출전; 한글주역 http://blog.naver.com/gulgun/220071177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