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0/한비자 - 한비 지음 ,김원중 옮김
- 고전이란 인류의 조상이 무엇을 고민하고 무엇을 계획했는지를 후세에 남긴글로 우리 정신문화의 바탕를 이룬다. 고전은 현재와 과거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고, 과거의 잘못된 전철을 밟지 않는 지침서 역할을 해주며,현재의 삶에 녹아들어 미래를 밝히는 마음의 등불 역할도 한다-9-
- 옛날 韓나라의 昭侯가 술에 취해 잠이 들었다. 이때 典冠이 군주가 추워하는 것을 보고 군주의 몸에 옷을 덮어주었다. 왕은 잠에서 깨어난 뒤 흡족해하며 주위의 신하들에 물었다.
"누가 옷을 덮어주었는가?"
신하들은 이렇게 대답했다.
"관을 담당하는 전관이 했습니다."
군주는 이 일로 典衣와 전관 모두를 문책했다. 전의에게 죄를 준 것은 자신의 임무를 다하지 못했기 때문이고, 전관에게 죄를 준 것은 자신의 직분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추위에 떠는 것을 싫어하지 않을 사람은 없지만, 다른 사람의 직분을 침해한 폐해가 추위에 떠는 것보다 크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74-
- 칭찬과 주변을 살피는 기술;
유세할 때에 힘써야 할 점은 상대방이 자랑스러워하는 점은 칭찬해주고, 부끄러워하는 부분은 감싸줘야 한다.
상대방이 개인적으로 급히 하고자 하는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그 일이 공적인 타당성이잇음을 보여주어 꼭 하도록 권해야 한다. -134-
- "미자하의 고사가 알려주는 역설" ;
간언을 하거나 논의를 하고자 하는 신하는 군주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미리 살핀 뒤에 유세하지않으면 안 된다. -139-
- [備內]篇
남자는 나이 오십이 되어도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이 그치질 않으나, 여자 나이 삼십이면 미모는 쇠한다. 미모가 쇠한 부인이 호색한 장부를 섬기면, 그 자신이 내몰리고 천시되지 않을까 염려하고 자식이 왕위를 계승하지 못할까 염려하게 된다. 이것이 후비와 부인들이 군주가 죽기를 바라는 이유이다. ...........예전에 王良이 말을 사랑하고 월나라 구천이 사람을 아꼈던 것은 전쟁에 출전시키고 전쟁에서 잘 타고 달리기 위해서였다. 의사가 환자의 고름을 뽑아내기 위해 상처를 빨아서 나쁜 피를 입 안에 머금는 것은 그 환자와 골육의 정이 있어서가 아니라 이익을 얻기 위해서이다. -185-
- 군주는 자기의 이해를 계산해 신하를 기르고, 신하는 자기의 이해를 계산해 군주를 섬긴다. 이처럼 군주와 신하는 서로 계산을 한다. 신하는 자신의 몸을 해치면서까지 나라를 이롭게 하는 일을 하지 않고, 군주는 나라를 해치면서까지 신하를 이롭게 하는 일을 하지 않은다. -212-
(출전;내블로그)
- [한비자,飾邪篇] (식사편)
"신하는 자신이 손해를 고려하면서까지 나라를 위하지 않고, 군주 역시 나라의 안위를 위태롭게 하면서까지 신하와 가깝게 지내지 않는다." 군주와 신하는 서로 다른 속셈을 가지고 모인 집합관계다. -103-[지략의 한비-상앙지음,고예지 옮김]
- 구천은 오나라로 들어가 신하가 됐을 때에 직접 방패와 창을 가지고 오나라왕을 위해 앞장섰다. ............월나라왕이 패자가 됐던 것은 신하가 되는 치욕을 견뎌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하기를 , "성인에게는 치욕이 없는데, 치욕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치욕이 없는 것이다." 라고 했다. -259-
(*** 노자 도덕경 제71장 ; "聖人不病 以其病病 是以不病 "
"聖人不病성인에게 병이 없는 것은 以其病病그 병을 병으로 앎으로서, 是以不病이는 곧 병이 아니다.건강한 것이다.라는 것이다." )
- [說林上]篇
소적매가 술에 취해 곯아떨어졌다가 가죽옷을 잃어버렸다. 송나라왕이 말 했다.
"술에 취해서 가죽옷을 잃어버릴 수 있소?"
"걸왕은 술에 취해서 천하를 잃었습니다. 彛酒이주란 항상 술을 마시는 것입니다. 항상 술을 마시면, 천자는 천하를 잃고 백성은 몸을 잃게 됩니다.
........관중과 습붕이 환공을 따라 고죽국을 정벌하러갔다가 산속에서 일을 잃고 는 관중이 말했다. "늙은 말의 지혜를 쓰면 됩니다." 에서 '노마지지' 의 고사성어가 생겼다. -278-
- [공명]篇
한 자밖에 안 되는 나무라도 높은 산 위에 서 있으면 천 길의 계곡ㅇ을 내려다보게 되는데. 그것은 나무가 길기 때문이 아니라 나무가 서 있는 위치가 높기 때문이다...........그래서 작은 것이 높은 곳에 자리잡고 내려다보는 것은 위치 때문이고, 어리석은 자가 현명한 자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권세때문이다. -344-
-......-583-끝.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