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열전 ; 69편 화식貨殖열전
어.<퍼온글>
|
-2.사마천 사기에 나오는 고사 성어:
[(중학생이 보는 ) 사기열전 3 - 김영수. 최인욱 역해]-411~ 438- -[제 69편 화식열전] 노자가 이렇게 말했다. "치세의 극치는 이웃 나라가 서로 바라볼 수 있을 만큼 가까이 있고, 닭 우는 소리와 개 짖는 소리가 서로 들려도 백성들은 각각 그들의 음식을 맛있게 먹고 , 그들의 입는 것을 아름답다 하며, 그들의 습속을 편히 여기고, 그들의 일을 즐기며, 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내왕하지 않는 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ㅇ르 이루기 위해 근대의 풍속을 돌이키고 백성들 의 귀와 눈을 막으려 한다면 이것은 거의 실행할 수는 없을 것이다. 태사공은 말한다. 신농씨 이전의 일은 나도 알지 못하지만,<<시경>>. <<서경>>에서 말하고 있는 순왕과 우왕 이후로는 귀와 눈은 아름다운 소리와 빛을 좋아하여 모두 듣고 보려 하고, 입은 소와 양 따위의 좋은 맛을 다보려 하며, 몸은 편하고 즐거운 것을 좋아하고 , 마음은 위세와 능력의 영화를 자랑하고 싶어 한다. 그리고 그 같은 풍속이 백성의 마음에 스며들어 버린 지 오래다. 아무리 노자의 현묘한 이론을 들고 나와 집집마다 들려주어도 도저히 감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므로 가장 정치를 잘하는 사람은 백성의 마음으로 다스리고 , 다음은 이득으로써 백성을 이끌고, 그 다음은 백성을 가르쳐 깨우치고, 또 그 다음은 힘으로 백성을 바로잡고, 가장 정치를 못하는 사람은 백성들과 다투는 것이다. 대체로 산서山西에는 목재와 대나무. 닥나무. 산모시. 검은 소꼬리, 옥석 등이 많고, 산동에는 물고기. 소금.옻.실과 가희歌姬.미녀가 많다. 강남은 장목.가래나무.생강.육계. 금.주석. 납.단사. 쇠불. 대모. 진주.상아와 가죽 등을 생산하고 용문.갈석 북쪽에는 말. 소. 양. 갖옷. 짐승의 힘줄. 뿔 등이 많다. 구리와 쇠를 산출하는 산은 천 리 사방의 땅 여기저기에 있어서 바둑돌을 놓은 것 같다. 이상이 생산물의 대강인데, 이것들은 모두 중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으로서, 각각 풍속에 따라 의복과 음식에 쓰며, 산 사람을 먹이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내는 데 쓰이는 것들이다. 그런데 농사꾼은 먹을 것을 공급하고 , 나무꾼은 자재를 공급하고, 기술자는 이것을 물건으로 만들고, 장사꾼은 이것ㅇ르 유통시킨다. 이러한 활동은 위로부터의 정교政敎에 의한 지도나 징발, 기회에 의해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각자가 저마다의 능력에 따라 그 힘을 다해 원한느 것을 손에 넣은 것뿐이다. 그러므로 물건의 값이 싼 것으 ㄴ장차 높아질 징조이며, 값이 높은 것은 싸질 징조라 하여 적당히 팔고 사며, 각자가 그 직업에 힘쓰고, 일을 즐기는 상태는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과 같아 밤낮을 쉬지 않는다. 물건은 부르지 않아도 절로 모여들고, 강제로 구하지 않아도 백성이 그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도와 부합되는 것이며 자연의 이치로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주서周書>>에는 " 농민이 생산하지 않으면 식량이 모자라게 된다. 나무꾼이 나무를 베지 않으면 자재가 모자라게 되고, 자재가 적으면 산과 택지는 개척되지 않는다. 공인이 생산하지 않으면 제품이 부족하게 되고 , 장사치가 유통시키지 않으면 삼보三寶(식량.자재.제품)는 끊어지게 된다. " 라고 했는데, 이 넷[농.처處.공.상]은 백성들의 입고 먹는 것의 근원이다. 근원이 크면 백성은 부유해지고, 근원이 작으면 백성은 빈곤해진다. 이 넷은 위로는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아래로는 가정을 부유하게 하는 것이다. 빈부라는 것은 밖에서 빼앗거나 주는 것이 아니고, 결국은 그 사람의 재능 여하에 딸린 것이다. 기교 있는 사람은 부유해지고 모자라는 사람은 가난한 것이다. 태공망[여상]이 영구에 봉해졌을 때 그 영토는 소금기가 많고 습했으며, 백성들응 적었다. 그래서 태공망은 부녀자의 일을 장려하고 공예의 기술을 다하게 하며, 또 각지에 생선과 소금을 옮겨 내어 있고 없는 것을 서로 유통케 했다. 그러자 사람과 물건이 돌아왔으며,줄을 지어 잇달아 모여들었다. 그리하여 제나란느 천하에 관과 띠와 옷과 신을 공급하게 되었고, 그 부강한 제나라에 대해 동해와 태산 사이의 제후들은 경의를 표하여 소매를 여미고 옷깃을 바로잡으며 조회에 들었던 것이다. 그 뒤 제나라는 한때 쇠해졌으나 관중이 나라의 정치를 맡으면서 경중輕重. 9부를 설치했으므로 환공은 패자가 되고, 제후들을 아홉 번이나 회맹시켜 ㅈ 천하를 바로잡았다. 관중 또한 제후의 신분으로 있으면서도 삼귀대를 가질 만큼 열국의 옹들보다도 부유했다. 이리하여 제나라의 부강은 계속해서 위왕과 선왕의 대에까지 이르렀던 것이다. 그러므로 "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알고 , 의식이 넉넉해야 영예와 치욕을 안다. " 고 한 것이다. 예는 재산이 잇으면 생기고 재산이 없으면 사라진다. 그런 까닭에 군자가 부유하면 즐겨 그 덕을 행하고, 소인이 부유하면 그 힘에 맞는 일을 한다. 못은 깊어야 고기가 있고, 산은 깊어야 짐승이 살듯이 , 사람은 부유해야만 인의가 따른다. 부유한 사람이 세력을 얻으면 ㅅ 더욱 세상에 드러나게 되고, 세력을 잃으면 빈객들도 줄어들어 따르지 않게 된다. 이런 경향은 만이의 나라에서 더욱 심하다. 속담에 " 천금을 가진 부잣집 아들은 저자에서 주지 않는다." 고 했는데 , 그것은 빈말이 아니다. 그러므로 " 천하 사람들은 화락하여 모두 이익을 위해 모이고, 모두 이익을 위해 떠난다. " 고 하는 것이다. 저 천 승의 봉토를 가진 왕, 1만 家를 지닌 候,백실百室을 가진 대부도 오히려 가난을 근심한다. 하물며 아래에 있는 서민들이야 말해 무엇 하겠는가? 옛날 월왕 구천은 회계산 위에서 고통을 겪고 범려와 계연(범려의 스승)을 중용했다. 계연은 월왕에게 말했다. "전쟁이 있을 것을 알면 미리 군비를 정돈할 것이며,어느 때 어느 물건이 필요하다는 섯을 알면 그때에 앞서 필요한 물건ㅇㄹ 알게 됩니다. 이 두 가지를 잘 알면 모든 재화의 실정을 제대로 알 수가 있습니다. 세성歲星(목성)이 金(서쪽)에 있는 해는 풍녕이 들고,水(북쪽)에 있는 해느 수해,木(동쪽)에 있는 해는 기근,火(남쪽)에 있는 핸느 가뭄이 있습니다. 가뭄이 든 해에는 미리 배를 준비해 두고 (가뭄 뒤에 수해가 있는 법이니까), 수해가 있는 해엔 미리 수레를 준비해 두는 것이 사물의 이치입니다. 6년마다 풍년이 들고 6년마낟 가뭄이 생기고 12년마다 큰 기근이 일어납니다. 무릇 쌀값이 한 말에 20전밖에 안 나가면 농민이 고통을 겪고, 90전으로 오르게 되면 반대로 장사꾼이 고통을 받습니다. 장사꾼이 고통을 받으면 상품이 나오지 않고 ,농민이 고통을 받으면 논밭이 황폐해집니다. 비싸도 80전을 넘지 않고, 헐해도 30전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하면 농.상이 함께 이롭게 됩니다. 쌀값이 일정한 한계를 지키고, 물자가 공평하게 유통되며, 사방의 물건이 관문을 통과하여 시장으로 돌아 나오고,나라 안이 넉넉하게 지내게끔 하는 것이 나라를 다스리는 길입니다. 축적이라는 것은 물건을 온전한 채로 보존하는 것이지 물건을 오래 쌓아 두는 것은 아닙니다. 물자는 서로 교역하고 상한 것은 자기 집에서 쓰도록 합니다. 또 비싼 것을 오래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됩니다. 물건이 남아도는지 모자라는 것을 알면, 그것이 귀한지 천한지를 알 수 잇습니다. 높은 값이 극도에 다다르면 헐값으로 돌아오고 싼 값이 극도에 이르면 높은 값으로 되돌아갑니다. 비싼 물건은 오물을 배설해 내듯 자꾸 내다 팔고, 싼 물건은 구슬을 손에 넣듯 소중히 사들입니다. 물건과 돈은 흐르는 물처럼 원활하게 유통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이리하여 구천이 계연의 법을 10년간 행하닌 나라는 부강하게 되고 병사들은 풍족한 금품을 받았다. 이로 인해 병사는 목마른 사람이 마실 물을 얻은 것처럼 적의 화살과 돌을 향해 용맹하게 달려 나가게 되었고, 구천은 드디어 강한 오나라에 보복하여 병위兵威를 중국에 떨치고 오패의 한 사람이 되엇다. 범려는 회계산의 부끄러움을 씻고 나서 탄식해 말했다. "계연의 일곱 가지 계책 중에서 월나라는 다섯 가지를 써서 목적을 달성했다. 나라에서는 이미 써 보았으니 나는 이를 집에서 써 보리라." 그리하여 그는 작은 배를 타고 강호를 떠나 성과 이름을 바꾸었다. 제나라로 가서는 '치이자피' 라 일컬었고, 도陶로 가서는 주공朱公이라 불렀다. 주공은 이렇게 생각했다. "도는 천하의 중앙으로 사방의 제후국에 통해 있어 물자의 교역이 빈번한 곳이다." 그리고 장사를 하며 물자를 축적해 두었다가 시기를 보아 방매함으로써 이익을 거두었으나 오직 자연의 시기를 기다릴 뿐 사람의 노력에는 의지하지 않았다. 이같이 생업을 잘 운영하는 사람은 거래 상대를 고른 다음에야 자연의 시기에 맡기는 것이다. 주공은 19년 동안에 세 번이나 천 금을 모았었는데, 그중 두 번의 것은 가난한 친구와 먼 친척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야말로 이른바 '부유하면 즐겨 그 덕을 행하는 표본' 이라 할 것이다. 그는 연로하자 집안일을 자손에게 맡겼는데 ,자손들이 집안을 다스리고 재산을 불리니 드디어 부가 거만巨萬에 달았다. 그런 까닭에 부를 말하는 사람은 모두 '도주공'을 일컫게 되는 것이다. 자공은 공자에게 나아가 배운 다음 스승을 하직하고 위나라로 가서 벼슬을 하고 조나라와 노나라 사이에서 물자를 축적하기도 하고 시기를 기다려 팔기도 하여 재산을 모았다. 공자 문하의 70여명의 제자들 중에 자공이 가장 부유했고 원헌은 비지와 쌀겨도 제대로 먹지 못하며 뒷골목에서 쓸쓸히 살고 있었다. 자공은 사두마차를 타고 기마 수행원들을 거느리며 비단 뭉치를 선물로 꾸려서 다니며 제후들과 교제하자 그가 찾아가는 나라의 왕들은 몸소 뜰로 내려와 그에게 대등한 예를 행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무릇 공자의 이름이 천하에 골고루 알려지게 된 것은 실상 자공이 공자를 모시고 다니며 도왔기 때문이다. 이야말로 이른바 '세력을 얻으면 더욱 세상에 드러나는 것' 이 아니겠는가.-411(처음)~ 418- '백규' 는 주나라 사람인데,위문 후 때의 일이다. 당시 '이극'은 농경을 중히 여겨,땅을 충분히 이용하는 데 힘을 기울였으나,벡규는 때의 변화에 따른 물가의 변동을 살피기를 좋아했다. 그러므로 세상 사람들이 버리고 돌아보지 않을 때 사들이고 ,세상 사람들이 사들일 때는 팔아 넘겼다. 즉 풍년이 들면 곡식을 사들이는 대신 실과 옻을 팔아넘기고, 흉년이 들어 고치가 나와 돌면 비단과 풀솜을 사들이는 대신 곡식을 팔아 넘겼던 것이다. 태음(목성 뒤의 두 별)이 묘(卯,동쪽)에 있는 해는 풍년이 들고,그 이듬해는 흉년이 든다............. 이러한 풍년.흉년의 변화를 보며 사고 팔았으므로 백규의 축적은 대체로 해마다 배로 불어났다. 돈을 불리려면 값싼 곡식을 사들이고, 수확을 늘리려면 좋은 종자를 썼다. 거친 음식을 달게 먹고, 욕심을 억제하며, 의복을 검소히 하고, 일을 시키는 노복과 고락을 함께 했으며, 시기를 보아 행동하는 데는 사나운 짐승과 새가 멱이에게 뛰어들 듯이 빨랐다. 그러므로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생업을 운영하는 것은 마치 이윤과 여상이 정책을 도모하여 펴듯, 손자와 오자가 군사르 쓰듯, 상앙이 법을 다루듯이 했다. 그런 만큼 임기웅변하는 지혜도 없고, 일을 결단하는 용기도 없고,얻었다가 도로 주는 어짐도 없고, 지킬 바를 끝까지 지키는 강단도 없는 사람은 내 방법을 배우고 싶어 해도 가르쳐 주지 않겠다.' -418~ 419- 오지烏氏.의 '나' 라는 사람은 목축을 업으로 했는데 가축의 수가 불어나면 이를 팔아 신기한 비단을 사서 '융왕'에게 바쳤다. '융왕' 은 보상으로 나에게 열 배의 가축을 주었다. 이로 인해 나의 가축은 골짜기마다 가득 차서 골짜기 수로 마소를 셀 정도가 되었다. 진시황은 나를 제후와 동격으로 대우하여 봄.가을에는 列臣들과 함께 조정에 들게 했다.-419- 한나라가 일어나 천하를 통일하자 관문과 다리의 통행 제한을 폐지하고, 산림과 소택에서 나무하고 고기를 잡지 못하게 한 금령을 늦춤에 따라 富商과 大商들은 천하를 두루 돌게 되었고, 교역하는 물자가 유통되지 안는 것이 없었으므로 원하는 물건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잇게 되었다. .......... 관중은 견수(옹의 동쪽에 있다). 하수. 화산에 이르기까지 천 리에 걸친 땅이 비옥하여 순왕. 우왕 시대의 貢賦에서도 상등의 田地로 인정받았다. 또 주나라 '공유'는 빈으로 갔고 '대왕'과 '왕계' 는 기산에서 살고, 문왕은 '풍豊'을 새로운 도읍지로 하고, 무왕은 '호鎬'를 서울로 삼았다. 진나라 문공.효공.목공이 옹에 도읍했을 무렵, 그곳에는 농.촉의 재화와 물건이 많이 모여들었고, 장사꾼도 많았다. 헌공. 효공은 '역읍' 에 도읍하였다. 역읍은 북쪽에 있어서 융적을 격퇴하는 데 편리한 곳이엇고, 동쪽은 삼진과 통해 있어서 또한 큰 장사꾼이 많았다. 무왕. 소왕은 '함양'에 도읍을 정했으므로 한나라는 그곳에 가까운 '장안'에 도읍을 했던 것이다. 장안 주변의 여러 릉이 있는 곳에는 사방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로 인해 좁은 땅에 인구가 많아지자 주민들은 점점 약아져서 상업에 종사하게 되엇다. 관중 남쪽은 파와 촉이다. 파.촉 또한 들이 비옥하여 치자,생강,단사, 구리,쇠와 대나무 그릇,나무 그릇이 많이 나므로 그 남쪽에 있는 '전' . '북' 을 제압하고 있다. ............ 파. 촉 땅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나 그 산엔 천 리에 걸친 잔도棧道가 부설돼 있어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 다만 포(한중 위수의 요로). 야(북쪽 요로) 가 파. 촉의 각지에서 관중으로 통하는 도로를 수레의 바퀴처럼 막고 있어서 여기서 파. 촉의 풍부한 물자는 부족한 물자와 교환되곤 했다. 관중에 파. 촉 및 위의 여러 고을을 합치면 그 땅은 천하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인구는 10분의 3에 불과하지만 , 그 부를 계산해 보면 10분의 6에 이른다. -420~ 421- 연(燕,북경)도 발해와 갈석산 사이에 있는 큰 고을이다. 연나라는 동북쪽은 흉노와 경계를 접하며, 상곡으로부터 요동에 이르고 있다. 북쪽은 오환.부여와 이웃해 있고, 동쪽은 예맥.조선.진번 과의 교역에서 이득을 독점하고있다. -423- 월나라와 초나라의 땅에는 세 가지 풍습이 있다. 회수 북쪽에서 패.진.여남. 나군까지는 '서초西楚' 다. 팽성에서 동쪽으로 발해 .오.광릉까지는 '東楚' 이다. 오나라는 오왕 합려.춘신군.오왕 비 세사람이 이곳을 근거지로 하여 각각 천하를 돌아다니는 젊은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 형산,구강과 강수 남쪽의 예장.장사는 '南楚' 다. 옛날 초나라는 도읍을 '영'에서 '수춘'으로 옮겼다. '합비'는 강수와 회수의 조수를 남북으로 받으며,피혁,건어물,목재 등의 집산지다. 풍습에는 민중(복건성)과 간월의 ㅅ이 섞여 있기 때문에 남초 주민의 말은 아무리 듣기 좋아도 믿을 수가 없다. 강수 남쪽은 땅이 저습하여 남자는 일찍 죽는다. 대나무나 목재가 많다.-425~ 426- 현인이 묘당에서 깊이 꾀하고 조정에서 의논하고 믿음을 지켜 절개에 죽는 것이나,세상을 피해 숨은 高士가 높은 명성르 ㄹ 얻으려는 것은 결국은 무엇을 위해서인가? 그것은 부귀를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청렴한 관리도 오랜 동안 일하는 가운데 승진되어 보다 부유하게 되고,폭리를 탐하지 않는 장사꾼도 마침내는 부유하게 되는 것이다. 부는 사람의 본성인지라 배우지 않아도 누구나 갖기를 바라는 것이다. ........... 주살로 고기를 잡고 활을 쏘아 사냥하기 위해 새벽 일찍 나가 밤 깊어 돌아오며, 서리와 눈도 아랑곳 않고 깊은 골짜기를 뛰어 돌아다니며 맹수의 위험을 피하지 않는 것은 맛있는 것을 실컷 먹기 위해서다. .......... 농사꾼.장인. 장사꾼들이 저축과 이식에 열을 내는 것도 원래가 부를 구하고 재산을 불리려 하기 때문이다. 부를 쌓는 일아라면 지혜와 능력을 다 하는 것이 인간의 상도라 있는 힘을 다 짜내지 않으면 재물을 남에게 넘겨주는 일을 초래하게 된다. 속담에 "백 리 먼 곳에 나가 땔나무를 팔지 말며,천 리 먼 곳에 나가 쌀을 팔지 마라(너무 멀어서 이익이 없으니까) " 고 했다. 1년을 살려거든 곡식을 심고,10년을 살려거든 나무를 심으며,백 년을 살려거든 덕을 베풀어라(자손에게 그 보상이 돌아가니까). 다시 말하면 사람에게 덕을 심으라는 뜻이다. 그런데 여기 관으로부터 봉록도 없고, 지위나 영지에 의한 수입도 없지만 이것들을 가진 사람들과 같은 즐거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는데 소봉素封이라 부른다. ...................-428~ 429- 만일 집이 가난하고,어버이는 늙고, 처자는 어리고,세시가 되어도 조상의 제사도 지내지 못하며, 음식과 옷가지까지 자기로서는 어떻게 해볼 숴 없어 친척과 친구들에게 신세를 지고 잇으면서 이를 부끄러운 줄을 모르는 사람은 갈 데까지 다간 사람이다. 그래서 재물이 없는 사람들은 힘써 일하고,약간의 재물이 있는 사람들은 지혜를 써서 더 불리려 하고, 이미 많은 재산을 가진 사람은 시기를 노려 더 큰 비약을 꾀하려 한다. 이것이 이식의 대강이다................. 대개 서민들은 상대방의 재산이 자기 것의 열 배가 되면 몸을 낮추고,백 배가 되면 이를 무서워하고 꺼리며,천 배가 되면 그의 심부름을 달게 하고, 만 배가 되면 그의 하인이 되는데, 이것은 만물의 이치다. 대체로 가난에서 벗어나 부자가 되는 길엔 農은 工에 미치지 못하고, 工은 商에 미치지 못한다. 수를 놓기보다는 시장에 나가 장사를 하라는 말은 상업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부를 얻는 가까운 길임을 뜻한다. 대도시에서는 물건(본전은 모두 백만 전) 을 팔면 어느 것이든 1년 동안에 20만 전의 이득을 얻는다. 이들의 수입은 천 호의 영지를 가진 제후와 같은 수준에 이른다. 이상이 소봉의 대강이지만 다른 잡일에 종사하면서 2할의 이익을 올리지 못하는 사람은 재물을 활용한다고 말할 수 없다. ............. -431~ 432- 제나라 사람은 노예를 업신여겼는데, '조간' 만은 노예를 정중히 대했다. 교활한 노예는 사람들이 싫어하게 마련이었느데, '조간' 만은 이를 발탁하여 생산과 소금 장사를 시켜 이익을 얻었다. -434- 주나라 사람은 본래 검소하고 인색하지만 그중에서도 '사사師史'는 더욱 심했다. 낙양 시가는 제나라.秦나라.초나라.趙나라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은 장사 일을 부자들에게 배워 오랜 세월 동안 행상하고 산 것을 서로 자랑하였다. '사사' 는 이러한 패들에게 일을 맡겨 장사를 시킨 결과,능히 7천만의 재산을 쌓았던 것이다. -435- 선곡의 '임씨' 조상은 독도督道의 창고지기였다. 진나라가 패했을 때 호걸들은 모두 앞을 다투어 금.옥을 취했으나 임씨만은 창고의 곡식을 굴속에 감추어 두엇다. 오.초 7국의 난이 일어났을 때 '무염씨'는 돈놀이를 하여 1년 동안에 빌려준 돈의 10배를 이자로 받게 되고, 그 바람에 그의 재산은 관중 전체의 부와 맞먹게 되었다. 관중의 부상이나 대상은 대체로 전씨 일족이었는데, '전색' . '전란' 등이 그들이다. 위의 사람들은 부호 중에서도 두드러진 사람들로서 모두 사물의이치를 추측하여 행동함으로써 시운에 순응하여 이익을 얻고,상업에 의해 재물을 ㅅ쌓고,부유한 몸이 되어서는 농사일로 돌아가 부를 지켰던 것이다. 즉 처음은 과단성을 가지고 때와 맞서 성과를 거두고,뒤에는 떳떳이 도리를 지켜 성과를 얻었던 것이다. ........ 무릇 아껴 쓰고 부지런히 일한느 것은 삶의 정도를 걷는 길이다. 그런데 부자는 반드시 독특한 방법으로 남을 누른다. ........... 秦나라의 '양씨'는 농사에 의해 州에서 제일가는 부호가 되었다. '전숙'은 도둑질을,'환발'은 도박을, '옹낙성'은 행상를, '옹백'은 기름장사를 , '장씨'는 술장사를 , '질씨' 는 칼을 갈는 일을 , '탁씨' 는 위포(양의 밥통을 삶아 말린 것)를 파는 장사를 , '장리' 는 馬醫로 처방하여 돈을 벌었다. 이것은 모두 한결같은 마음으로 돈벌이에 힘쓴 때문이라 할 것이다. 이로 미뤄 볼 때 치부하는 데는 정해진 직업이 없고,재물에는 정해진 주인이 없다. 재능이 있는 사람에겐 재물이 모이고,못난 사람에게서는 홀연히 흩어지고 만다. 천 금을 모은 부자는 한 도시를 차지한 군주와 맞먹고,거만의 부를 가진 사람은 왕자와 낙을 같이 한다. 그들이야 말로 이른바 소봉을 지닌 사람들이 아니겠는가?-435~ 438- 끝. 감사합니다.
........